• 흐림동두천 21.0℃
  • 구름많음강릉 24.5℃
  • 구름많음서울 22.2℃
  • 구름많음대전 22.8℃
  • 구름많음대구 22.6℃
  • 구름많음울산 17.8℃
  • 흐림광주 21.7℃
  • 구름많음부산 18.2℃
  • 구름많음고창 21.7℃
  • 흐림제주 19.1℃
  • 구름많음강화 16.6℃
  • 흐림보은 21.9℃
  • 구름많음금산 21.1℃
  • 흐림강진군 20.0℃
  • 구름많음경주시 20.7℃
  • 구름많음거제 19.2℃
기상청 제공

정 맞는 모난 돌이 필요하다


우리들이 흔히 쓰는 말 중에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표현이 있다.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보여주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랜 기간 스스로 자율적인 정체성을 만들어 가기보다는 신분이라는 사회적 굴레, 다양한 대내외적인 침탈에 따른 본능적 자기방어, 정착된 삶이 주는 고착화된 생활의 한계 등이 고스란히 녹아져 항상 외부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자하는 소시민적 지혜가 담겨진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삶의 자세도 엘빈 토플러 같은 미래학자의 관점에서는 시대적으로 가장 적절한 삶의 태도일수 있다. 하지만 세상의 변화속도는 오랫동안 진리와 같이 머물던 모난 돌의 정리가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IT로 대변되는 속도와 경계의 붕괴, BT로 야기된 자기복제와 생물학적 다양성 그리고 CT 등 농경이나 산업화 시대에는 도저히 상상할 수도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맞고 있다. 그것도 시작에 불과할 뿐이고 이러한 테크널로지가 융·복합한다면 어떠한 세상이 될지 상상을 초월한다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사고나 삶의 관성은 항상 남이 하는 것을 따라가고, 위험을 거부하고, 현재의 자리에 안주하려는 태도로 변화의 본질을 외면한 채 주변만을 맴돌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것은 꿈과 희망을 잃은 것이지 결코 실패와 좌절은 아닐 것이다. 조심스럽게 인생을 바라보고 또 거기에 맞추어 현실적 판단이나 기준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도 삶의 한 가지 방법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특별한 존재로 창조하시고 선택하신 존재인 우리가 완전히 다른 세상을 살도록 허락받았는데 주저하거나 뒷걸음만 칠 이유가 있겠는가? 세계사적으로도 이렇게 짧은 시간에 경제적 부흥을 일으킨 국가나 민족도 없었으며 한국의 오천년이란 긴 역사를 통해서도 지금과 같은 국가적 위상을 세웠던 때도 없었다. 이러한 역사는 과거 모난 돌들이 정을 맞아가며 이루어 놓은 결과이듯 앞으로의 역사 역시 모난 돌들이 정을 맞으며 새로운 변화의 주인으로 서기 위한 노력을 통해 이루어 질 것이다.

새학기를 시작하는 계명인들에게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정을 피하기 위해 주변인으로 머물지 말고 정을 맞아도 당당히 미래와 소통하는 주역이되기를 당부하고 싶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