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7.4℃
  • 구름조금강릉 14.4℃
  • 박무서울 11.4℃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8.5℃
  • 맑음울산 11.7℃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7.2℃
  • 맑음제주 14.0℃
  • 구름많음강화 10.0℃
  • 구름많음보은 6.1℃
  • 구름많음금산 5.7℃
  • 구름많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한반도 대운하와 대구경북의 미래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근래 들어 가장 많은 국민의 지지를 얻은 대통령이 내세운 최대공약이므로 가장 큰 기대와 우선순위를 가지고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의견이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다. 필자를 포함한 우리 국민들은 이 공약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고 판단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첫째, 환경을 되살리고 되찾을 수 있다. 우리정부는 한강과 낙동강에 2015년까지 약 20조원의 예산을 들여서 강을 되살리는 사업을 추진 중에 있지만 긍정적인 답을 듣기는 어렵다. 강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오염원을 없애야 근원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포화상태인 도로 물류부담율(2006년도 기준 90%이상) 해결을 위해 제 2경부고속도로나 철도건설을 해야한다면 최소한 1백조 이상의 예산이 예상된다. 하지만 운하는 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설비를 줄일 수 있으며, 2천 5백톤과 5천톤의 배로 많은 물량을 한꺼번에 실어나를 수 있어 물류비를 많이 줄일 수 있다고 예상된다.

셋째,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고용창출을 위한 국토종합개발계획이며, 경기를 부양할 수 있는 경제종합계획이다. 국토개발사업의 큰 장점은 많은 인력의 고용창출이며, 그 어느 사업보다도 파급효과가 큰 사업이므로 그동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경제에 도약의 도화선이 될 것이다.
하지만, 강을 따라 무엇을 보여줄 것이며, 얼마나 많은 수익사업이 될 것인가는 미리 고민해야 한다. 또한 환경전문가들이 우려하듯 개발에 따른 환경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토의와 세밀한 계획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대구경북은 다른 내륙도시의 한계, 야당도시 등의 한계 등으로 경제발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딛고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필요한데, 그 발판이 한반도 대운하중 경부운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륙항구를 중심으로 많은 물동을 실어나르고, 터미널을 중심으로 산업단지들이 입주하고, 그로 말미암아 고용창출이 늘고, 그리하여 대구경북이 21세기 한반도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다같이 노력해야겠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