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9.3℃
  • 구름조금강릉 13.7℃
  • 맑음서울 11.9℃
  • 박무대전 12.6℃
  • 맑음대구 12.1℃
  • 맑음울산 14.1℃
  • 맑음광주 12.5℃
  • 맑음부산 17.8℃
  • 맑음고창 11.1℃
  • 구름많음제주 17.4℃
  • 맑음강화 10.6℃
  • 구름많음보은 8.0℃
  • 구름많음금산 8.4℃
  • -강진군 12.5℃
  • 맑음경주시 10.9℃
  • 맑음거제 15.3℃
기상청 제공

호국보훈과 국가안보


금년은 6월을 호국보훈(護國報勳)의 달로 지정한 지 25년, 6.25전쟁이 발발한 지 60년이 되는 해이다. 정전(停戰) 협정이 발효 중임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도발이 끊이지 않는 와중에서 지난 달 발생한 천안함 사건은 우리에게 다시 한 번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소중한 젊은이들의 덧없는 희생에 대한 가슴 아픔을 잠시 뒤로하면, 도대체 이런 일이 왜 일어나는가 하는 의구심이 천만배의 크기로 다가온다. 그러나 감상과 고민에 빠지기에는 우리의 현실이 너무나 절박하다. 희생자에 대한 감사와 예우는 어떻게 해야 하며, 그리고 다시는 이러한 희생이 재발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세계 각국은 명칭과 방식은 다르지만 우리나라 현충일과 비슷한 기념일을 제정하여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예우를 하고 있다. 미국의 Memorial Day(5월 마지막 월요일), 호주와 뉴질랜드의 ANZAC Day(4월 25일) 등이 그것이며, 우리나라는 1956년부터 망종(芒種)일인 6월 6일을 현충일로 지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이는 6.25를 상기하고 고려시대부터 이어온 망종에 장병의 제사를 지내는 풍습을 고려한 것이다.

정부는 6.25 60주년을 맞은 금년에 전쟁의 교훈과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참전한 21개국의(전투참여 16개국, 의료지원 5개국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군 127만 명, UN군 194만 명 총 321만 명이 참전하였다.) 참전자 초청과 방문을 포함한 대대적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값진 희생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해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은 현충일은 그저 하루 쉬어가는 공휴일로 호국보훈의 달로 지정된 6월은 지나가는 구호의 하나쯤으로 여기기도 하고, 공직채용시험의 국가유공자 가산점제도에 불만을 표하기도 한다.

이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와 예우를 소홀히 한다면 그 누가 감히 또 다른 희생에 기꺼이 도전하겠는가? 가신 이들의 명복을 빌고, 고통 받는 이들에게는 따뜻한 격려와 위로를 그리고 함께한 모든 이들에게 감사와 존경을 표하는 것은 비단 그들에 대한 예우만이 아니라 국가안보를 위한 우리들 자신에 대한 다짐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