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8.7℃
  • 흐림강릉 26.0℃
  • 서울 19.7℃
  • 대전 20.6℃
  • 흐림대구 24.0℃
  • 구름많음울산 25.9℃
  • 흐림광주 23.6℃
  • 구름조금부산 24.1℃
  • 흐림고창 23.7℃
  • 흐림제주 26.2℃
  • 흐림강화 17.6℃
  • 흐림보은 19.4℃
  • 흐림금산 21.3℃
  • 흐림강진군 24.2℃
  • 구름많음경주시 25.4℃
  • 구름많음거제 24.4℃
기상청 제공

21세기 리더의 조건 : 통찰력


21세기 격변의 시기에 걸출한 리더의 탄생과 그로 인한 조직의 변화는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임을 부인할 수 없다. 과연 어떠한 리더가 조직을 이러한 무한경쟁의 승자로 우뚝 서게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으로 나는 주저 없이 통찰력을 제안한다.

탈레스, 아리스토텔레스, 갈릴레오, 레오나르드다빈치, 에디슨…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놀라운 통찰력으로 표면 아래 잠자는 진실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그 시대의 천재라는 것이다.

탈레스는 지금으로부터 2500여 년 전에 활동한 수학계의 천재이다. 그가 이집트를 여행 중 이집트 왕 파라오로부터 피라미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뢰가 들어 왔다. 현재의 공학기술 수준에서도 피라미드와 같은 대형 건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탈레스가 사용한 방법이 매우 간단하면서 통찰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는 막대기의 그림자가 하루 동안 정확하게 막대기 높이와 그림자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점이 있음을 관찰을 통해 알게 되었고, 같은 논리로 그 시간이 바로 피라미드의 높이와 그림자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점이므로 그 순간 그림자의 길이를 통해 피라미드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다.

그는 막대기 하나로 피라미드 높이를 측정하는 통찰력을 발휘한 것이다. 이 시대에는 그러한 통찰력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하다. 경쟁은 또 다른 경쟁을 낳을 뿐이고 경쟁을 통해 경쟁자를 이기는 것은 비생산적이고 비효율적이다. 차별화된 나를 통해 경쟁을 하지 않고도 이기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21세기 경쟁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활약한 카레이스 레이 하룬은 세계 최초로 백미러를 개발한 자동차 레이스며 기술자이다. 그는 1911년 2월 제1회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500마일 레이스 대회에 참석하였다. 당시 경주용차에는 뒷좌석에 보조자를 한명 동석시켜 뒤에서 추월하는 차를 확인하는 역할이 있었다. 이 문제를 아내의 화장 거울에서 힌트를 얻었다. 이 또한 통찰력에 대한 좋은 사례이다.

보통 사람들이 당연하게 또는 아무런 의미 없이 보는 대상에 대해 조금만 깊이 관찰하고 사고하면 새로운 의미를 창조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이 바로 21세기에 가장 필요한 리더의 덕목이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통찰력을 통해 자신의 경쟁력과 다른 나만의 차별적 경쟁력을 획득하여 21세기 리더로 우리의 인생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