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6.7℃
  • 흐림강릉 19.3℃
  • 흐림서울 17.8℃
  • 대전 16.2℃
  • 흐림대구 19.9℃
  • 흐림울산 20.2℃
  • 구름많음광주 20.6℃
  • 흐림부산 20.4℃
  • 구름많음고창 17.7℃
  • 맑음제주 22.5℃
  • 구름많음강화 14.3℃
  • 흐림보은 15.5℃
  • 흐림금산 15.8℃
  • -강진군 21.1℃
  • 맑음경주시 19.1℃
  • 흐림거제 19.7℃
기상청 제공

맞춤식 교육


대학교를 상아탑이라고 하는 말은 현시대에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다. 상아탑이란 속세를 떠나 오로지 고일(preeminence)한 학문에 잠기는 경지를 의미하는 이상(idea)적인 개념인데 오늘날 대학평가의 주요 기준이 되는 취업률 등은 매우 현실적인 내용을 다루기 때문이다.

어언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교육활동에 전력하였는데 뒤 돌아보니 어느 한 순간도 넋 놓고 쉬지를 못했다. 항상 주어지는 문제들을 해결한다고 허겁지겁 지내온 것 같다. 그런데 지금과 같이 긴박하게 변해야 하는 때는 없었다. 지금의 대학은 상아탑이라는 안옥한 울타리를 걷고 기업과 같이 무한 경쟁의 소용돌이에 서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변화된 새로운 교육목적과 방법을 필요로 한다. 그 대안이 맞춤식 교육이다.

맞춤식(customized) 교육이란 성과중심의 학습방법(performance-based instruction)으로 학생의 요구(needs)가 파악되고 이에 걸 맞는 교육목적을 가지고 목표를 설정한 후 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교육방법은 글로벌(global)화된 사회 환경에서 경쟁에 앞서기 위해 천편일률적인 내용의 전달이 아닌 개인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며 개성과 전문성을 두루 겸비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다.

따라서 맞춤식 교육이란 ‘사회에 나가서 어떻게 생활을 영위하며 살 것인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직업과 관련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을 염두에 두며 교육을 하는 것이 맞춤식 교육이다. 학생별로 가장 유리한 공부 전략을 짜 주고 조력하여 주는 맞춤식 교육은 사회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이며 그 방법은 전공 관련 분야의 기본적인 이론과 실기의 전문적인 것을 교육하는 것이다.

맞춤식 교육을 실천하며 나 자신도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수활동에서 나 자신이 확실히 이해하는 것을 전달해야 하며 다양함으로 교수나 학생이 모두 즐기며 수업을 하도록 계획을 세워야 하고 나 스스로가 매일매일 가치 있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며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어 권위보다는 존경받는 교수가 되는 목표를 세워본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우리 학생들의 달라진 눈빛을 확인하고 싶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