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BBC 방송에 따르면 그동안 지중해나 인도양 섬에서 휴가를 보내던 많은 독일인들이 최근 독일 동북부 인근 휴양지로 몰리고 있다. 환경문제를 걱정하는 많은 독일인이 항공 여행에 따른 탄소 배출량 증가를 걱정해 기차 여행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세계일보 5월 9일자 14면).
독일인들의 환경인식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들에게 환경은 미래이며 최고의 가치이다. 여기에는 남녀노소가 다를 수 없고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욕구를 기꺼이 포기하려는 태도가 요구된다. 특히 독일 젊은 세대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다.
우리가 경험하는 갖가지 환경문제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소비와 필요충족의 결과이다. 물질이
타서 재가 되면 다시 원래의 물질로 되돌릴 수 없는 것처럼 한번 파괴된 환경은 다시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성을 지닌다. 그 결과 무질서와 혼란을 의미하는 엔트로피(entropy)가 증가하게 되며 세계의 물질과 에너지는 반대로 감소하게 된다.
윤리적(ethical) 소비자라는 개념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들은 자신이 소비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및 처리과정, 패키지, 제품의 재료 및 성분 등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은 기업이윤의 사용방법에도 관심을 갖는데 무엇보다도 제품이나 서비스의 친환경성에 많은 가치를 부여한다.
그러면 대학캠퍼스 내 대학생들은 윤리적 소비자인가. 사실 대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너무나 초보적인 수준이어서 윤리적 소비자라는 말을 붙이기가 무색하다. 캠퍼스 내에서의 ‘윤리성’은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의 자제는 물론 소음 및 대기오염원이 되고 있는 각종 원동기 운행의 금지, 쓰레기 줄이기,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제품 및 재료의 사용제한 등과 같은 구체적인 실천행위로부터 출발한다. 대학생들이 철저한 윤리적 소비자가 되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 이를 위한 총학생회 차원의 운동 및 실천행위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