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7.4℃
  • 구름조금강릉 14.4℃
  • 박무서울 11.4℃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8.5℃
  • 맑음울산 11.7℃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7.2℃
  • 맑음제주 14.0℃
  • 구름많음강화 10.0℃
  • 구름많음보은 6.1℃
  • 구름많음금산 5.7℃
  • 구름많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외국인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다

우리 학교에 교환 학생으로 와 있는 몇몇 외국인들을 데리고 경주 박물관에 갔을 때의 일이다. 같은 장소로 현장 학습을 나온 초등학교 학생들이 우리 학생들에게 우르르 달려와 길을 막고, "Hi, how are you? What's your name? Where are you from?"라며 대답할 새도 없이 질문을 쏟아냈다.

그러자 우리 학생 중 한 명이 "I am from Finland"라고 친절히 대답했다. 그러자 대뜸 "You know Xylitol Gum?"이라고 묻더니 답도 듣지 않고 사인(autography)을 요청하였다. 겸연쩍어 하며 사인을 해주려고 하자 그곳에 있던 모든 초등학생들이 달려들어 사인을 요청하며 그 학생의 주변을 에워쌌다.
물론 키가 훤칠하고 잘 생긴 금발의 핀란드 남학생도 있었으므로 초등학생들의 눈에는 유명한 외국 배우쯤으로 보였을 법도 하다. 학생들은 인솔교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자기들끼리 서로 밀치기도 하고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 순식간에 아수라장을 이루었다. 함께 갔던 다른 외국인 학생들은 갑자기 일어난 우발사고를 도저히 이해를 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지으며 "Why? Why"만을 연발했다. 간신히 사태를 수습하고 불국사로 갔다. 이곳에서도 크고 작은 해프닝이 여러 번 있어 외국인 학생들에게 더 이상 좋지 않은 이미지를 남기지 않으려고 일정을 하루 앞당겨 마무리 해야만 했다.

요즘 길거리에 나가면 많은 외국인들을 만나게 된다. 이들에게 무례해서도 안 되지만 지나친 친절이나 관심도 이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우리와 같은 동양인이 런던의 지하철을 타더라도 우리들에게 결코 시선을 주는 법이 없고, 심지어는 우리에게 길을 물어보기도 한다. 우리를 낯선 외국인으로 생각지 않는 그들의 사고를 이제는 우리도 가져야 할 때가 되었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하나의 사람이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