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9.2℃
  • 구름조금강릉 10.3℃
  • 맑음서울 12.6℃
  • 박무대전 10.6℃
  • 맑음대구 11.3℃
  • 맑음울산 11.3℃
  • 맑음광주 12.5℃
  • 맑음부산 14.0℃
  • 맑음고창 8.9℃
  • 구름많음제주 14.8℃
  • 맑음강화 9.2℃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8.3℃
  • -강진군 9.9℃
  • 맑음경주시 8.2℃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교내 시설물을 잘 활용하자!


80년대 중반 미국 유학을 가서 그 대학의 운동시설을 보곤 그 규모와 시설에 깜짝 놀랐고 너무 부러웠다. 학부와 대학원 학생수를 합쳐 우리 계명대 정도였고, 그 마을 거주인구는 고작 2만5천명 정도의 캠퍼스 타운이었다.

하지만 7만명을 수용하는 풋볼경기장과 1만2천명을 수용하는 실내농구장을 비롯하여 셀 수 없이 많은 테니스코드, 끝도 없는 넓은 잔디밭, 다이빙 풀까지 갖춘 실내수영장과 헬스장,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육상 트랙 등 당시 국내 대학의 운동시설을 다 합쳐도 모자랄 것 같은 규모의 시설이었다.

그렇게 부러웠던 운동시설이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우리 계명대에 충분히 갖춰져 있다. 자연조건은 오히려 더 좋다. 궁산이라는 나지막한 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런 시설을 우리 학생들이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을까?

물론 학업에 열중하다보면 운동을 할 여건이 안된다고 말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은 여가 시간을 이용해서 운동을 하겠다고 말 할 것이다. 하지만 운동은 여가시간에 하는 게 아니라 시간을 일부러 할애해서라도 해야 한다. 운동만큼 우리 몸과 마음에 필요한 것이 없으니 말이다.

우리 학교와 같이 좋은 운동환경을 갖춘 학교에 다니면서 그 시설을 이용하지 못한다면 값비싼 등록금을 납부하고도 혜택은 일부분만 받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요즘 유행하는 SNS (Social Network Sites)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계명대 재학생뿐만 아니라 교직원까지 모든 구성원 중에서 같은 운동취미를 갖되 기존의 동아리처럼 소속에 구속력을 갖기보다 보다 자유롭게 참여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분위기의 모임으로, 예를 들면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오후에 모여 1-2시간 궁산으로 가볍게 떠나는 산행모임 또는 트랙을 걷거나 뛰는 모임 등을 활성화하면 어떨까?

학교측에서도 좋은 운동시설을 우리 학생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샤워시설 같은 부대시설을 만들어줬으면 한다. 체육대학에 샤워시설이 있지만 다른 대학 학생들은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샤워시설을 만들면 유지관리가 문제겠지만 면학장학생을 활용하는 등 얼마든지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