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구름많음강릉 21.6℃
  • 구름많음서울 18.8℃
  • 흐림대전 20.2℃
  • 흐림대구 19.9℃
  • 흐림울산 18.7℃
  • 흐림광주 21.1℃
  • 흐림부산 19.3℃
  • 흐림고창 21.2℃
  • 구름많음제주 20.9℃
  • 구름많음강화 15.7℃
  • 흐림보은 18.2℃
  • 흐림금산 18.1℃
  • 흐림강진군 21.4℃
  • 흐림경주시 18.0℃
  • 구름많음거제 20.0℃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철학하고 싶다.”라고 말한다. 그만큼 이 책은 누구나의 곁에 있는 평범한 사람의 삶을 쉽고 투명한 문장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그 어떤 독자들에게도 쉽게 가 닿을 것 같다. 

 

그는 어머니와의 대화에 애써 의미를 부여하려 한다거나 자신의 생각으로 재단하려 하지 않은 채, 그저 흘러가듯 자신이 지켜봐 온 어머니의 삶과 미처 몰랐던 이면을 곰곰이 떠올리며 그녀의 마음을 헤아려본다. 그런 문장과 마음은 독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전달되어, 각자의 처지에 따라 그녀의 성찰을 되새기며 묵상하게 만든다. 이토록 쉬운 말로도 진솔한 삶의 성찰을 담을 수 있음을 깨닫는다. 문학과 철학이 늘 우리 곁에 있음을 깨닫는다. 이렇게 한다면 언젠가 나도 우리 아빠의 지혜를 담은 책을 낼 수 있지 않을까 헛꿈도 꾸어 본다. 그래서 이 책은 지금 읽고 훗날 다시 한 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다 읽은 뒤, 각자의 어머니, 아버지께도 선물해 드리면 더더욱 좋을 것 같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