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0℃
  • 구름많음강릉 20.1℃
  • 구름많음서울 19.2℃
  • 흐림대전 19.2℃
  • 구름많음대구 18.1℃
  • 흐림울산 14.5℃
  • 흐림광주 19.5℃
  • 흐림부산 16.8℃
  • 흐림고창 18.0℃
  • 흐림제주 17.8℃
  • 구름많음강화 15.0℃
  • 흐림보은 18.2℃
  • 흐림금산 18.4℃
  • 흐림강진군 17.7℃
  • 구름많음경주시 14.8℃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

영국 뉴캐슬에 아내를 잃고 혼자 살아가는 노년의 목수 다니엘이 있습니다. 심장 질환으로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된 다니엘은 의사의 권유에 따라 질병급여를 신청하지만 거부당하고 맙니다. 다니엘은 재심을 신청하기 위해 관공서를 찾아가지만, 컴퓨터를 사용해 본 적이 없는 그로서는 온라인 신청절차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그곳에서 우연히 아이 둘이 있는 싱글맘인 케이티를 만나게 된 다니엘은 어려운 처지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족을 도와주게 됩니다. 영화는 어떤 결말을 맺게 될까요?


이 영화는 관료주의적인 사회복지시스템의 실태를 꼬집고 그로 인해 사각지대에 방치된 불행한 개인의 삶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다니엘은 과거 성실한 남편이자 능력있는 목수로서 살아왔고 어려운 이웃을 외면하지 않는 따뜻한 심성을 가진 남자입니다. 그러나, 질병과 실업은 일순간에 그를 빈곤층으로 내몰고 유일한 희망인 정부의 도움을 구하기는 어렵기만 합니다. 시민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정당하게 주장하고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것, 다니엘의 소망은 오직 이것입니다.


영화 속 주인공에게 자연스레 감정이 이입되는 제 자신을 보면서 ‘나도 이제 꽤 나이가 들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 살다보면, 가끔 스스로가 점점 뒤처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은 두려움이 들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젊은 세대들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미래를 만들어갈 여러분들이 한번쯤 보고 우리 사회를 올바르게 변화시켜 나가는데 유익한 교훈을 얻었으면 합니다. 덧붙이자면, 실업이나 빈곤과 같은 불행을 오로지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할 수 있는지, 우리 사회에서 취약층을 위한 안전망은 얼마만큼 구축되어 있는지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해보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쓰고 보니 다소 영화를 무겁게 받아들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이 영화의 또 다른 매력은 냉정한 현실 속에서도 따뜻한 인간미를 잃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다니엘은 수많은 행정서류 가운데 한 페이지에 기록된 이름이지만, 케이티 가족에게는 선량한 이웃이자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산타클로스입니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