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9.3℃
  • 구름많음강릉 16.3℃
  • 구름많음서울 13.0℃
  • 구름많음대전 11.2℃
  • 구름많음대구 11.0℃
  • 구름조금울산 13.9℃
  • 구름조금광주 12.9℃
  • 구름많음부산 14.4℃
  • 맑음고창 11.0℃
  • 맑음제주 14.9℃
  • 구름조금강화 10.0℃
  • 구름많음보은 8.0℃
  • 구름많음금산 8.4℃
  • -강진군 10.1℃
  • 구름많음경주시 8.5℃
  • 구름많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프랑스 근현대복식 단추로 풀다

매일 옷을 입을 때마다 무심코 잠그는 단추.

빠른 변화 속에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단추라는 작은 모티브가 많은 의미를 남기고 디자이너와 장인들이 디자인, 제작한 단추를 감상 할 수 있는 전시회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은 많은 장소에서 전시를 하지만 복식의 일부분으로 사용되는 단추 전시는 매우 드문 경우로 이번 특별전 ‘프랑스 근현대복식 단추로 풀다’는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특히 한국-프랑스 수교 13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단추, 옷, 책을 비롯한 1800여 소장품이 선보이는 전시회이다.

이번 특별전은 로익 알리오(Loic Allio)에 의해 수집 된 3천여 개의 방대한 단추 중 일부분으로 프랑스 중요문화자산으로 지정될 만큼 중요한 문화유산을 대구에서 관람할 수 있다는 데 전시회를 위해 애쓰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해야 할 것 같다.

이 전시는 유럽에서 문화의 선두에 섰던 프랑스의 18-19세기의 복식 흐름을 볼 수 있다. 기능적 역할에서 화려한 장식 수단으로 귀족들의 지위나 신분을 과시하여 옷보다 비싼 단추가 등장하기도 하고, 작은 단추 하나에서 그 시대의 문화상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진다. 단추의 형태, 소재, 문양, 제작 기술 등 다양함과 함께, 작은 사이즈의 단추가 어떻게 역사적 자료가 되고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정체성과 지향성을 드러내는 주요 장식으로 자리잡았는지를 중점으로 관람하는 것도 포인트이다.

특히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옷의 잠금장치 중 하나인 단추를 주제로 단추의 재질, 기법, 형태 등이 소개되어 있고 단추를 중심으로 의복, 회화, 드로잉, 사진, 공예, 조각 등 다양한 전시품이 보기 쉽게 전시되어 있다.

일일이 손으로 잠그고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단추가 아직까지 의복에 사용되고 있는 것만 보아도 단추의 의미는 크다. 작품을 볼 때마다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 내가 그 옷의 단추를 끼우고 있는 주인공이라고 상상해보면 어떨까?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