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9.7℃
  • 구름조금강릉 17.7℃
  • 맑음서울 13.5℃
  • 구름많음대전 14.0℃
  • 흐림대구 16.7℃
  • 울산 14.4℃
  • 구름많음광주 16.0℃
  • 부산 14.1℃
  • 구름많음고창 12.9℃
  • 제주 14.1℃
  • 구름많음강화 11.2℃
  • 구름많음보은 11.2℃
  • 구름많음금산 11.7℃
  • 흐림강진군 14.4℃
  • 흐림경주시 16.0℃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죽은 시인의 사회

- 카르페 디엠(Carpe Diem)의 의미

곧 개학이다. 이 맘 때가 되면 늘 방학 동안 무엇을 했는지, 이번 학기는 어떻게 해야 할지 등 여러 생각들로 머리가 아프다.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라도 의미 있게 보내려고 하니 마음이 조급해지기까지 한다. 이럴 때마다 내 마음을 다잡게 하는 영화가 있다. 오래전, 그리고 너무 유명해 누구나 한번쯤은 봤을 영화, 바로 <죽은 시인의 사회>이다.

1990년에 개봉된 이 영화는 1950년대 미국 1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웰튼 명문사립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다. 이곳에 영어교사로 새로 부임한 키팅 선생으로 인해 학생들은 기존의 억압된 교육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새로움에 당황해 하면서도 그의 말에 신선함마저 느낀다. 그는 ‘카르페 디엠Carpe Diem’, 미래가 아닌 현실을 직시하고 지금 이 순간을 즐기라고 한다. 부모나 사회가 원하는 삶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여 그 길을 자신 있게 걸어가라고 말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선생의 가르침에 과거 있었던 ‘죽은 시인의 사회’를 비밀리에 다시 만들어 조금의 일탈을 경험하며 서서히 자신의 내면에 귀 기울이기 시작한다.

그러나 영화는 한 학생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키팅 선생에게 전가시켜 교단에서 물러나게 함으로써 이러한 교육이 현실에 받아들여지지가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일이며 오늘날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다만 아버지의 강압에도 자신의 꿈인 연극을 포기할 수 없어 자살을 선택한 닐, 마지막 가는 키팅 선생을 향해 캡틴이라고 부르며 그의 가르침을 잊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학생들의 모습은 결국 그들이 바라는 교육이 여기에 있음을 환기시켜 준다.

여러분들은 어떤 삶을 살고자 하는가? 부모나 사회가 원하는, 즉 타인의 인정을 받는 삶을 살고자 하는가, 아니면 자신의 독특함을 믿고 나만의 길을 걸어가는 삶을 살고자 하는가. 흔히 대학이 취업 학원으로 전락했다지만 여전히 삶의 진지한 성찰이 살아있는 곳임을 부인하지 않는다면 대학 교육의 방향 또한 이러한 물음에 있지 않을까 한다. 새 학기가 시작될 즈음에 이 영화를 보며 자신의 삶은 물론 대학에서 진정 배우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