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과 상담 혹은 면담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에 관심이 많고 취업에 대한 걱정이 상당하다는 것을 많이 느낀다. 하지만 학생들은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몰라 더욱 고민이 깊었다. 어떤 학생은 시키는 것은 잘할 수 있을 것 같으니 아무 기업에나 입사하고 싶다고 하였다.
4차 혁명이 시작되었는지, 아직 시작되지 않았는지의 논쟁은 차치하고라도 인공지능 시대는 우리 앞으로 성큼성큼 다가오고 있다. 사람이 하던 많은 일을 로봇이나 기계가 대신할 것이다. 미래의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단순 지식보다 문제의 해결능력이 중요해졌다. 어떤 일이든지 스스로 찾고 결정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공부할 때는 협업이 중요해졌으며 이를 통해 의사결정과 소통능력을 키워야 하고 질문하는 능력도 중요해졌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이런 능력을 키울 수 있을까? 문제를 해결하려면 창의성이 필요하고,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관찰력이 필요하다. 또한 남들이 좋다고 하는 직업이나 단순히 돈을 잘 버는 직업을 우선순위에 두고 진로를 선택하기 보다는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공부란 자신을 아는 길이다. 자신의 속을 깊이 들여다보며 자신이 무엇에 들뜨고 무엇에 끌리는지, 무엇에 분노하는지 아는 것이 공부의 시작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공부란 이렇게 자신의 꿈과 갈등을 직시하는 주체적인 인간이 세상과 만나는 문이다. 자신이 행복해지기 위해,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공부를 해야 한다.” 또한 저자는 기성세대가 창의성, 미래의 유망 직업을 거론하면서도 구시대적인 인재상인 좋은 대학, 대학 졸업 후 정규직 입사가 삶의 목표인 것처럼 말하며 성적과 학점 관리, 스펙 쌓기, 자격증 취득에 매진하라고 강요하는 현상을 질타하고 있다. 진로를 고민하고 있는, 전공이 자신과 맞지 않다고 느끼는, 고작 이런 것을 배우러 대학에 왔는지 회의하고 있는, 수동적으로 가만히 있으면 어떻게든 될 것 같지만 그래도 미래가 불안한 모든 학생들에게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