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0.0℃
  • 구름많음서울 14.2℃
  • 구름많음대전 17.5℃
  • 구름조금대구 16.8℃
  • 구름많음울산 15.7℃
  • 흐림광주 17.3℃
  • 구름조금부산 19.5℃
  • 흐림고창 14.8℃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11.4℃
  • 구름많음보은 16.5℃
  • 구름많음금산 15.4℃
  • 흐림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6.8℃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영화 ‘꾸뻬씨의 행복여행’

아이들이 성장해 기숙학교에 입소하고 난 다음, 시간이 나면 하루에 한편의 영화를 시청하는 것이 어느덧 생활이 되었다. 지금까지 보았던 많은 명작들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가슴에 머물렀던 영화는 ‘꾸뻬씨의 행복여행’이다. 원작 소설을 영화로 제작한 것으로 행복을 찾아 떠나는 여행 이야기가 이 영화의 알파와 오메가다. 


영화의 줄거리는 매일 같이 불행한 사람들을 상담하던 런던의 정신과 의사 ‘핵터’가 과연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훌쩍 여행을 떠난다는 내용이다. 돈이 행복의 조건이라고 말하는 상해의 은행가, 가족과 행복하게 살고 싶은 아프리카의 마약 밀매상, 생애 마지막 여행을 떠난 말기 암 환자, 가슴속에 간직해 둔 LA의 첫사랑, 핵터는 여행지에서 만난 수많은 인연들을 통해 행복리스트를 완성해 나간다. 행복에 대한 자신만의 답을 찾아나가는 핵터의 여정을 관찰하며 대리만족을 느낄 수 있으며 120분 안에 해피엔딩으로 행복이 무엇인지 알았다는 가벼운 착각과 만족감을 주는 영화이다.   


핵터의 행복을 찾아 떠난 여행은 출발지인 사랑하는 사람 곁으로 돌아오면서 끝이 난다. 즉, 출발지가 종착지인 것이다. 감독이 관객들에게 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행복 자체를 잡으려 하지 말고 자신의 삶에, 자신의 일에 집중하고 몰입하고 교감하고 영감을 받을 때 행복을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과 행복의 추구보단 다른 것을 추구할 때 얻어지는 행복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내용일 것이다. 


영화는 모든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인 행복에 대해서 저마다의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고 좋아하는 음식이나, 음악이 다르듯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자신만의 행복이 무엇인지 한 번쯤 생각하게 한다. 나는 나의 행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나의 행복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내가 정의하는 행복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자기 주도적 행복 로드맵을 설계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