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1℃
  • 구름조금강릉 5.5℃
  • 맑음서울 1.9℃
  • 비 또는 눈대전 2.8℃
  • 흐림대구 6.8℃
  • 구름조금울산 8.5℃
  • 흐림광주 5.7℃
  • 구름조금부산 9.4℃
  • 흐림고창 5.4℃
  • 제주 8.5℃
  • 구름조금강화 1.3℃
  • 구름많음보은 2.1℃
  • 구름많음금산 2.8℃
  • 구름많음강진군 5.7℃
  • 구름많음경주시 7.2℃
  • 구름많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우리 전통음악장르 ‘가곡’

 우리 전통음악장르 ‘가곡(歌曲)’을 아십니까? 고등학교 음악시간에 불러보기도 한 것 같은데, 우리의 가곡은 이은상의 ‘가고파’,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이 있고, 서양의 가곡은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 슈만의 ‘시인의 사랑’ 등이 있습니다. 헌데, ‘가곡’이라는 명칭을 우리 사회가 개화기를 거치면서 서양양식의 가곡에게 빼앗겼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가곡을 구분 짓기 위해 ‘전통’이라는 어두가 붙어 소개되곤 하지요.

 

 제가 소개하려고 하는 ‘전통가곡’은 그 중 하나라고 꼭 집어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음악이나 공연이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면서도 적절치 않은 듯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 느낌은 그 어느 한 개념만으로는 제가 갖게 된 전통가곡의 독보적 정체성과 실체적 아름다움을 전하기가 어렵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딱히 작품도 아니며, 온전히 음악도 아니며, 더구나 공연무대에 올라 청중과 원활한 소통을 거둘 ‘무엇’이 아니라는 망설임 때문입니다. 

 

 전통가곡은 국악의 대표성을 띠는 장르가 아니라서 아주 간간히 무대에 오르기 때문에 이를 경험할 기회도 없는 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러다 기회가 생겨 무대에서 볼 수 있어도 신기해하거나 너무 낯설어 질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의 가곡은 국악 안에서 가장 비밀스런 장르로 남아있다. 그 표현이나 기법이 너무나 독특하고 유별나기 때문에 일반 관객들 중에 우리의 가곡을 쉽게 접해 본 사람도 아주 드물기 때문이다. 아무튼 우리의 범상한 관객들에게는 너무나 귀족적인 여유와 틈새에 압도되어 숨조차 제대로 쉬지 못하고 무대를 텅 빈 진공상태의 느낌으로 응시해야만했다. 공연이 끝나고 객석에 불이 들어오는 순간의 느낌은 마치 병상에서 투석을 끝낸 환자가 다시 일상으로 돌아앉는 순간 같았다고나 할까?” 누군가는 가곡연행을 본 첫 경험을 그렇게 소회했습니다. 또 누군가는 “가곡은 시나위와 산조와 같은 민속악이 아니라 정악의 범주에 들어가는 성악곡입니다. 이렇게 느린 음악도 있다는 걸 보여드리려고 소개합니다. 아주 짧은 시조 한 편의 사설을 가사로 사용하는 것이 가곡인데요, 보시다시피 그 중에서도 겨우 글자 몇 개만을 가지고 동네 몇 바퀴를 도는지 모를 정도로 유장하게 진행됩니다.”라고 전했습니다.

 

 가곡은 조선사회에서 지식계층이었던 선비의 음악이자, 서정시 장르인 시조를 얹어 부르는 노래에 7, 8종류의 악기연주가 한데 어우러지는 음악입니다. 음악학자인 내게 그 독특한 정체성이 ‘세계 유일하고 아름다운 양식을 가진 음악’으로 인식하며 학생들에게 추천한다면, 그런 나를 정말 이상한 사람이라고 하는 건 아닐지 모르겠습니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