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신화가 관념적, 추상적, 안정적이라면 게르만신화는 거대함과 폭력의 미학, 세계의 몰락을 그린다. 종말은 대자연의 순리이며 더 풍요롭고 영광스러운 세계를 탄생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대립과 갈등이 이끌어가는 급격한 변화 속에는 반드시 영웅이 등장한다. 이 영웅이 혼란에 빠진 세계를 구원하는 것이다.
바그너는 독일 통일과정을 지켜보았으며 비스마르크시대 제국의 번영기를 누렸던 사람이다. 그는 사회주의, 유물론, 낭만파의 유산, 민족주의 등 당대 유럽의 온갖 사조들을 받아들였으며 쇼펜하우어에도 탐닉했다. 또 유럽에서 들불처럼 번져나가던 반유대주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그는 당대의 사조들을 무차별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게르만신화와 중세전설에 주목하게 된다. ‘니벨룽겐의 반지’, ‘탄호이저’, ‘로엔그린’ 등 그의 음악은 독일 전통의 회복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하는 태도로 나타난다. 바그너는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민족의 위대한 과거를 재현하고 독일과 독일 예술의 미래에 대해서도 선지자적 언술로 예언한다. 관객들은 바그너 오페라의 장엄하고 비장미 넘치는 장면과 제의적 의식에 열광했으며 그가 펼치는 예술과 신화의 세계, 애국주의적 열정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히틀러는 12살에 ‘로엔그린’을 본 후 바그너의 숭배자가 되었다. 그는 정치 행사마다 바그너의 제의적 연출방식을 철저히 수용했다. 히틀러는 바그너의 음악을 연설과 가두행진에 사용하였으며, 오페라 ‘탄호이저’ 중 ‘순례자의 합창’은 나치의 국가로 불릴 만큼 선전용으로 널리 이용하였다. 음악을 배경으로 반복되는 구호와 열기는 청중들의 사고를 일시적으로 중단시켰으며, 집회가 끝난 후에도 사람들을 광신적 일체감으로 다시 집회장으로 불러들였다. 그러나 몰락의 방향성을 현실에서 구현하고 말았다는 점에서 히틀러는 환상과 예술, 현실세계를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이었다. 전쟁이 패배로 기울자 유태인 학살명령인 ‘최종해결’을 지시했고, 독일 국민 대부분이 동참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게르만신화 바그너 히틀러’는 왜곡된 민족주의, 불멸의 예술, 위대한 지도자의 길이 무엇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