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0년 무렵 요하네스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는 포도를 압착하는 와인 프레스기를 개조해 활판 인쇄기를 만들어 낸다. 이것은 하나의 ‘발명’이란 사건을 뛰어 넘어 ‘문자 공화국’의 탄생을 알리는 계기가 된다. 그 이후 500년 동안 인쇄된 책은 문화와 지식의 중심부에 자리하게 된다.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가 중요한 매체로 등장했던 20세기 중반까지 어쩌면 책의 가장 행복했던 시절이 아니었을까? 책의 불행은 세상의 지식을 간단하게 숫자 코드로 변환시켜주는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조합은 우리의 시간과 생활 구석구석까지, 관계와 존재의 아주 깊은 곳까지 은밀하게 그러나 매우 강력하게 장악해 가고 있다. 어떠한 구조와 상황 속에 놓이면 우리는 그 구조와 상황 속에서 생각하고 판단하게 된다. 마치 언어의 사용으로 우리가 언어적으로 생각하게 된 것처럼. 컴퓨터와 인터넷의 사용은 우리가 컴퓨터와 인터넷의 방식으로 길들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굳이 구조주의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우린 그렇게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 익숙해진다. 그리고 그 환경과 구조에 맞게끔 설정된 틀 속에서 생각하고 판단을 내리게 되는 우(愚)를 범할지 모른다.
최근 몇 년간 책과 연관된 지표를 들여다보면 사람들이 점점 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에는 이미 책보다 흥미롭고 자극적인 콘텐츠가 넘쳐난다. 우리는 어쩌면 사각의 스마트 기기 안에서 하루를 시작하고 하루를 마감한다. 웹상의 어딘가에 접속하며 시간을 보낸다. 웹 페이지의 링크들 사이와, 또는 스마트 기기의 여러 앱 사이를 분주하게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 그러는 사이 우리는 조용한 사색의 시간을 빼앗겨버리고 만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잦은 사용이 우리의 집중력을 분산시킨다는 데에 있다. 우리의 뇌는 부하가 많이 걸릴수록 산만해진다.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 우리는 깊이 읽으려하지 않는다. 대충 훑어보고 성급하게 링크를 따라 배회한다. 그래서 인터넷은 홀로 고독하게 무엇인가에 몰입해가는 경험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동일한 정보를 선형적 방식인 책으로 읽는 것과 하이퍼텍스트 방식인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읽는 것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지기도 했다. 우린 대개 웹 페이지의 글은 대문자 F의 형태처럼 페이지 아래로 건너뛰며 읽는다. 여기에서 우리의 읽기 방식은 필요한 것이라 판단되는 부분만 대충 훑어보고는 빠르게 링크를 따라가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글을 읽지 않고 그냥 스쳐 지나가는 것일지 모른다. 이럴 때에 우리는 책이 제공해주었던 독자와 작가와의 지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상실하게 될지 모를 일이다.
오늘은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책에 눈길을 돌려보자. 책장에 등뼈를 고스란히 보이며 자신의 언어를 나지막이 들려주고 싶어 하는 문자들의 고백에 조용히 귀기울여보자. 그 깊은 방에서 혼자만의 고독에 몰입해보자. 어딘가에 접속하여 산만하고, 성급하고, 건너뛰는 대신에 어딘가에 홀로 앉아 침묵하고, 집중하고, 기록해보자. 그러면 삶이 조금은 더 천천히, 그리고 의미 있게 흘러갈지 모를 일이다. 때때로 그 사색 속에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창조적 생각이 불현듯 떠오를지 모른다. 때때로 그 책 속에서 자신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한 줄의 문장을 뜨겁게 만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