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4.6℃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18.1℃
  • 맑음대전 16.4℃
  • 맑음대구 17.2℃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6.7℃
  • 맑음부산 16.4℃
  • 맑음고창 13.3℃
  • 맑음제주 16.9℃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2.6℃
  • 맑음금산 14.6℃
  • 맑음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13.4℃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사설] ‘부캐’를 던져라

‘부캐’라는 말을 결혼식에서 신부가 드는 작은 꽃다발을 지칭하는 부케(bouquet)로 혼동했다면 트렌드에 둔감한 사람으로 취급받을 수 있다. ‘부캐’는 요즘 방송가에서 소위 ‘뜨는’ 신조어로 부(附)캐릭터를 줄여서 부르는 말이다. 온라인 게임에서 자신의 역할을 대신하는 캐릭터를 본(本)캐릭터라 부른다면, 부캐릭터는 원래 사용하던 것이 아닌 다른 부차적 캐릭터를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자신이 주로 하는 일인 본업과 가끔씩 하는 부업 정도로 ‘본캐’와 ‘부캐’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작금의 코로나19 시대 방송계에서는 본업보다 부업이 더 각광받는다. 먼저 ‘부캐’하면 이 용어를 유행시킨 개그맨 유재석을 빼놓을 수 없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그는 개그맨 유재석이 아닌 트로트 가수 ‘유산슬’, 혼성 댄스 그룹 ‘싹3’로 변신해 화제를 모았다. 추대엽은 자신의 본업인 코미디언보다 지금의 ‘부캐’인 ‘카피추’로 유튜브에서 더 유명해졌다. 이런 인기는 부캐릭터 선발대회라는 별도의 예능 프로그램을 탄생시키기도 한다. 이쯤 되면 부업이 본업이 된다. 이는 비단 연예인들에 국한되는 얘기가 아니다. 직장을 가진 일반인들이 퇴근 후 ‘부캐’로 변신하는 경우도 많다. 기획자인 사람이 취미로 유튜브 요리 방송을 진행한다거나, 프로그래머가 자동차 튜닝을 하는 등 자신의 본업을 넘어 다른 분야를 넘나들 수 있는 기회가 훨씬 많아졌다. 

 

한 개인의 모습이 꼭 하나의 정체성에 고립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황에 따라 개개인 삶의 방식은 다양하게 편재할 수 있는 것이 지금의 풍경이다. 하나가 아닌 여러 가지 자신이 동시에 존재하는 이른바 멀티 페르소나(Me and Myselves) 시대에서는 ‘부캐’가 상식이고 일상이 된다. 본격적인 파이(π)자형, 또는 문어발식 인재 시대의 도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현상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질문할 수 있겠지만, 그것을 성찰하는 것은 여기서 논외로 하겠다. 자신의 전문 영역, 즉 자신의 강점을 개발하는 것은 역시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이제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이다. 고정된 영역에서 새로움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사람들은 변화와 드라마틱한 도전에 열광한다. 사람들은 그러한 변신 스토리를 기대하고, 그 과정에서 재미와 짜릿함을 경험한다. 여기에서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소환하자면, 그는 수많은 ‘부캐’를 가진 가장 대표적 인물일 것이다. 화가가 그의 ‘본캐’였다면 건축학, 해부학, 천문학, 물리학, 토목학, 생물학 등의 영역이 그의 ‘부캐’가 담당했던 분야였다. 

 

이제는 ‘부캐’가 스펙인 시대이다. 자신만이 할 수 있는 ‘부캐’를 만드는 것은 호기심을 그냥 넘기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미와 경험, 도전과 새로움이 만날 때 창의적 생각이 탄생한다. 이제 자신만의 ‘부캐’를 던져볼 시간이다. 봉준호 감독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마틴 스콜세지의 말을 빌어서 얘기하지 않았던가.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라고. 가장 개인적이고 가장 재미있게 할 수 있고 가장 자신을 잘 드러낼 수 있는 것. 그것으로 나만의 ‘부캐’를 던져보자. 그것이 꼭 생산적이거나 실용적이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그리하면 창의성이란 부케를 손에 쥘 수 있을 것이기에.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