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5℃
  • 구름많음강릉 1.2℃
  • 서울 -1.1℃
  • 흐림대전 -2.4℃
  • 구름조금대구 -5.3℃
  • 맑음울산 -0.6℃
  • 흐림광주 -1.3℃
  • 맑음부산 -0.1℃
  • 흐림고창 -3.0℃
  • 구름많음제주 4.8℃
  • 흐림강화 -1.2℃
  • 흐림보은 -4.1℃
  • 구름많음금산 -3.8℃
  • 맑음강진군 -3.0℃
  • 맑음경주시 -6.0℃
  • 구름많음거제 -0.1℃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가부장제와 유훈의 그늘 KBS <미워도 다시 한 번>


‘막장드라마’는 2009년의 키워드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경제도 사회 분위기도 삭막하고 어수선한데 드라마는 더 살풍경하다. 엇비슷한 불륜과 복수, 출생의 비밀이 드라마마다 넘친다. 흔히 ‘막장 드라마’일수록 설정만 파괴적이다. 쉽게 잊고 쉽게 용서하며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 듯 진행되곤 한다. 그런데 지난 주 종영한 KBS <미워도 다시 한 번>(극본 조희, 연출 김종창)은 ‘명품 막장’이라는 신조어를 낳으며 인기를 끌었다. 30년에 걸친 원한과 복수의 스토리는 상식을 거부하는 극단의 세계지만 탄탄한 만듦새나 연기력의 조화는 통속극의 절창을 보여주고 있었다.

<미워도 다시 한 번>은 겉으로는 여걸들이 이끌어가는 극 같지만, 실제 모든 이의 운명을 쥐고 있는 것은 30년 전에 자식세대의 앞날을 정해버린 故 한병수 회장이다. 주인공 한명인(최명길 분) 회장의 아버지요 명진그룹의 창업자다. 한명인은 아버지라는 유령에 휘둘려 살아간다는 점에서 셰익스피어의 햄릿과도 같은 캐릭터다. 30년 전의 교통사고와 사라진 첫사랑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아버지가 죽은 후에도 아버지가 짠 틀대로 산다. 그 짜여진 각본에 적응 못해 30년을 신경안정제로 버틴다. 남편 이정훈(박상원 분)과 남편의 여자이자 국민배우 은혜정(전인화 분), 시어머니 황보 여사(김용림 분)까지 모두 한병수 회장이 정해놓은 틀대로 산다. 한명인의 자식 세대까지 할아버지의 망령에 묶여 있다.

이것은 완벽한 유훈통치다. 한두 사람도 아니고, 등장인물 전체가 유훈의 그늘 아래 놓여 있다. 30년 전의 사건에서 아무도 벗어날 수 없다. 여걸 한명인은 이 사건의 최대 피해자며, 그녀의 카리스마는 아버지의 것을 잠시 빌린 것에 불과하다. 가부장의 권위는 죽어서도 위세를 떨친다.

이 드라마의 여성 캐릭터들은 아주 독한데, 그렇게 성공하고도 한 발만 잘못 디디면 낭떠러지다. 여자의 성공이 얼마나 어려운지, 반면 실패는 얼마나 쉬운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여성들끼리의 연대란 없다. 여자들의 밥그릇은 한정되어 있기에 올라오기 전에 다 떨어뜨려야 한다. 한명인은 재벌총수임에도 사견만 앞세운다. 후배들에게는 더 잔인해서 ‘한국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앵커 최윤희를 루머로 매장시킨다. 이유는 고작 철 안 든 아들의 며느리로 삼기 위해서이다. 타인의 존엄성, 사회적 손실 등은 안중에 없다.

반면 남성들은 겉으로는 대단히 무력해 보이나 다들 대단한 저력을 갖고 있다. ‘마음’만 먹으면 세상을 휘두를 자질을 갖췄다. 결국 남성들끼리의 ‘계약’에 의해 한명인은 조종당했고, 아들을 낳아 제 아버지의 대를 잇게 할 중간자에 불과했다. 그녀는 ‘여걸’이 아니라 아버지의 유훈대로 산 아버지의 딸이었다. 그런 점에서는 한국 멜로드라마 속 가부장제의 틀은 더 공고해졌다. 더 겹겹이 포장되고 단단히 은폐되어 있을 뿐이다. <미다한>의 성공은 결국 향후 ‘알파걸’ 드라마들이 TV에서 사라질 것임을 예고한다.

관련기사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