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1.4℃
  • 맑음강릉 -2.6℃
  • 맑음서울 -7.0℃
  • 맑음대전 -6.8℃
  • 맑음대구 -4.3℃
  • 맑음울산 -2.0℃
  • 맑음광주 -2.7℃
  • 맑음부산 -0.3℃
  • 맑음고창 -5.4℃
  • 맑음제주 3.0℃
  • 맑음강화 -9.1℃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8.5℃
  • 맑음강진군 -1.0℃
  • 맑음경주시 -2.9℃
  • 맑음거제 -0.2℃
기상청 제공

이미지와 핵심을 전달하는 카드뉴스

스마트폰 및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이미지 중심의 뉴스로 변화

출퇴근 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무언가’를 보고 있다. 그들은 무엇을 보는 것일까? 통계청이 작년에 실시한 ‘인터넷중독실태조사 : 스마트폰 이용용도’(중복응답 포함)에 따르면 뉴스 검색이 8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가 81.2%, 일반적인 웹서핑이 61.3%인 것과 비교하면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뉴스를 검색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는 사람이 많아진 만큼 종이로 기사를 보는 사람은 줄어들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지난해에 발표한 ‘언론 수용자 의식 조사’에 따르면 2011년 이래로 종이신문 순이용자가 19.4%, 14.6%, 11.0%, 9.3%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반면, 인터넷신문 순이용자는 28.1%, 36.6%, 42.6%, 47.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같은 조사에 따르면 종이와 인터넷으로 신문기사를 읽은 비율은 2011년 76.5%에서 2014년 78%로 올랐다. 뉴스를 보는 비율 자체는 비슷한 반면, 인터넷으로 신문을 보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점차 종이신문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는 말이다.

줄어드는 종이신문 구독률에 대응해 나온 것이 바로 신문을 스마트폰으로도 읽을 수 있게 한 서비스다. 닐슨코리아의 ‘3-Screen(TV·노트북·모바일) 이용자의 디바이스별 하루 평균 이용시간 조사’ 자료를 보면 모바일이 3시간 39분으로 가장 길었고, TV가 2시간 51분, 컴퓨터는 42분으로 조사됐다. 모바일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이 긴 기사를 점점 읽지 않는 추세여서, 최근엔 이미지와 더불어 핵심을 전달하는 ‘카드뉴스’가 등장했다.

카드뉴스의 시초는 미국의 복스가 지난해 선보인 ‘카드 스택’(Card Stack)으로, 문답 형태로 정리된 뉴스가 주제별로 분류되어 있는 뉴스 형태이다. 국내 언론사들이 제공하는 카드뉴스는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주제에 대한 핵심을 담은 짧은 글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형식의 뉴스이다. 사람들에게 카드뉴스가 많이 읽히는 이유는 한눈에 들어오는 이미지, 카드라는 형식과 더불어 적절한 스토리텔링,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해 잘 읽히는 기획 등을 잘 이용했기에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기사를 쓴다는 것은 이미 스토리를 쓴다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게 됐다. 단순한 알림성 기사가 아닌, 이야기가 있는 기사가 사람들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전달된다는 말이다. 이미지와 핵심을 강조한 형태, 스토리텔링 등의 요소들이 잘 결합되어 지금의 카드뉴스와 같은 형태가 나타났다.

과거에는 사진 혹은 이미지가 비싸고 거의 없었기 때문에 글을 중심으로 뉴스가 전개됐다. 뉴스 콘텐츠의 하나인 사진은 지난 1880년 뉴욕데일리그래픽(New York Daily Graphic)이 최초로 지면에 실었다. 이후 사진은 기사의 텍스트를 보완하는 역할을 넘어 뉴스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으로 사진뿐만 아니라 편집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흑백 활자로 거의 모든 것을 말하는 과거와는 달리, 이미지, 여백, 그래픽, 색깔로 다양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 그래픽 등을 전보다 쉽게 제작하거나 가져올 수 있으므로, 내용을 한눈에 담은 이미지 등을 중심으로 뉴스가 전개되고 있다.

피키캐스트와 JTBC, 파이낸셜뉴스가 콘텐츠 제휴를 맺는 등 방송국, 신문사가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업체를 이용해 뉴스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미지 등을 이용해 뉴스 형태를 바꾸는 것을 넘어, 각종 콘텐츠와의 제휴를 통해 홍보효과와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흐름의 하나이다.

뉴스가 중요시하는 요소와 뉴스의 형태가 점점 변화하고 있는 요즘, 사회와 미디어의 흐름에 발맞춰 언론사에서는 수많은 변화를 꾀하고 있다. 우리는 뉴스의 변화를 다방면으로 살펴봐야 하며, 또한 그에 맞는 능동적 수용자이자 성숙한 독자로서 지켜봐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