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리히 프롬(E. Fromm)의 책 『자유로부터의 도피』(1969)는 자유의 문제를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들어간 현대의 고전이다.
이 책에서 프롬이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현대인은 어떤 시대보다 가장 많은 자유를 소유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진정한 자아실현, 즉 적극적 의미에서의 자유는 아직 획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프롬이 보기에 외적 속박으로부터의 자유(소극적 자유)는 현대인에게 독립과 합리성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고독과 불안과 무력도 안겨 주었으며, 현대인은 이러한 고독과 불안과 무력을 견디다 못해 끊임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유라는 무거운 짐으로부터의 도피”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진단을 바탕으로 프롬은 현대인이 앞으로 취해야 할 행동의 기본 방향과 아울러 모든 형태의 ‘전체주의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한다.
프롬은 우선 현대인이 왜, 어떤 식으로 자유로부터 도피하려고 하는지를 묻는다.(1장) 그런 다음 프롬은 한 개인으로 홀로 서게 된 인간이 자기의 개체성을 스스로 포기함으로써 고독과 무력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아담과 이브의 이야기를 통해 보여준다.(2장)
이어 프롬은 종교개혁 시대에 이루어진 인간 해방과 사회경제적 변화가 도시 중산 계급의 성립과 자본주의의 성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고, 그에 대한 대답을 프로테스탄티즘과 칼뱅이즘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을 통해 얻는다.(3장)
4장에서 프롬은 중세사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난 자유가 근대인에게 새로운 독립심을 부여해 주기는 했지만 동시에 그로 하여금 고독과 무력을 느끼게 했다는 3장의 결론을 현대인에게도 그대로 적용시킨다. 현대에 이르러 인간은 더 독립적, 자율적, 비판적으로 되었지만, 그 만큼 더 고립되고, 외롭고, 두려움에 사로잡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자유의 이러한 이중성을 가속화한 것은 바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는 인간을 전통적 굴레로부터 해방시켰지만, 동시에 인간을 더욱 더 외롭게 만들었다.
즉 자본주의는 인간을 세계와 자기 자신으로부터 소외시키고 말았다. 자유로부터 도피하는 현대인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논의(5장)를 거쳐 프롬은 드디어 ‘이성적인 독일민족이 어떻게 전체주의적 광기에 사로잡힐 수 있었는지’를 묻고 그 해답을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찾는다.(6장)
이 책의 마지막 장인 7장에서 프롬은 현대인이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중단하고 진정한 자유와 자기를 획득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는 바, 그것은 바로 적극적 의미에서의 ‘자유’, 즉 ‘자발성’과 ‘사랑’과 ‘노동’이다. 현대인의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프롬이 제시한 이러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독자는 『사랑의 기술』, 『소유냐 존재냐』, 『건전한 사회』등을 펼쳐 볼 일이다.
특히 신입생 여러분은 이번 학기 <교양세미나와 글쓰기> 수업에 졸지 말고 더욱 열심히 참가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