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6℃
  • 맑음강릉 1.7℃
  • 맑음서울 -2.3℃
  • 맑음대전 -1.0℃
  • 맑음대구 3.1℃
  • 맑음울산 2.9℃
  • 흐림광주 2.5℃
  • 맑음부산 5.6℃
  • 흐림고창 1.7℃
  • 흐림제주 6.5℃
  • 맑음강화 -4.1℃
  • 맑음보은 -0.9℃
  • 맑음금산 -1.3℃
  • 흐림강진군 3.2℃
  • 맑음경주시 2.6℃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분리수거, 모두의 관심과 노력 필요

최근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논란되고 있다. 중국이 지난해 7월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재활용쓰레기 수입에 제한조치를 취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올해 1월 1일부터 재활용쓰레기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중국에 쓰레기 처리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재활용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또한 중국이 폐기물 수입을 규제하면서 폐기물의 가격이 급락해 아파트에서 배출한 재활용품을 수거해온 일부 민간업체들이 수거를 거부하면서 혼란은 더욱더 심해졌다. 이처럼 쓰레기 처리와 관련된 사회적인 논의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학교 또한 이 문제에서 예외가 아니다.

한 건물 쓰레기통은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로 분리수거할 칸이 나눠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쓰레기통 안에는 플라스틱 음료 컵이나 알루미늄 캔이 가득했다. 또 다른 건물은 쓰레기통이 분리수거를 할 수 있게 나눠져 있는 것이 아니라, 큰 쓰레기통 하나만 있어 학생들이 모든 쓰레기를 한곳에 버릴 수밖에 없다. 이 뿐만 아니다. 쓰레기통 위에 테이크아웃 플라스틱 컵을 분리수거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올려두거나, 심지어는 안에 음료가 들어있는 채 올려두는 학생들도 있다.

내가 생각하는 우리학교 분리수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처리체계가 통일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어떤 건물은 종이류, 캔・병류, 일반쓰레기로 잘 분리되어 있는 곳도 있는가 하면, 또 어떤 건물에는 일반쓰레기와 분리수거함 단순히 두 개로 나눠져 있고 또 다른 곳은 일반쓰레기통 하나만 있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재활용품 처리 체계는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만일 통일된 재활용품 처리 체계가 구축이 된다고 하더라도 교내구성원들이 분리수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이 역시 실효성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예컨대, 교내 카페에서는 일회용 컵 대신 머그컵이나 개인 텀블러를 사용하여 일회용 컵의 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분리수거에 대한 올바른 의식과 잘못된 분리배출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다.

학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교내 구성원들의 관심과 노력이 가장 필요하다. 분리수거에 대한 올바른 의식과 구성원들의 관심을 바탕으로 통합된 재활용품 처리 체계가 구축되어, 더 이상 분리수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될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