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3℃
  • 맑음강릉 1.4℃
  • 서울 -1.0℃
  • 구름많음대전 0.1℃
  • 맑음대구 2.6℃
  • 맑음울산 4.8℃
  • 광주 3.9℃
  • 맑음부산 5.1℃
  • 흐림고창 3.2℃
  • 제주 8.9℃
  • 구름많음강화 -2.4℃
  • 흐림보은 0.6℃
  • 구름많음금산 2.4℃
  • 구름많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4.6℃
  • 구름조금거제 5.2℃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북한의 도발과 통일의식

북한이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언론을 통해 미사일을 발사하고 한반도에서 전쟁을 불사할 것이라고 연일 위협하고 있는 시국이다. 하지만 실상 우리 국민들은 북한의 엄포에 대해서 별로 동요를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마음 한 구석에 불안감은 자리하지만 의례 그러하듯 ‘또 저러다 말겠지’라고 생각하고 말 정도로 우리는 북한의 위협과 도발에 익숙해져 있다고 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번 북한의 전쟁도발이 통일이라는 주제에 미치는 영향이란 그리 작지 않다. 실제로 지난 4월 7일 워싱턴 포스트지는 북한의 연이은 전쟁도발 위협으로 한국 내에서 통일의식이 흔들리고 있다고 보도 한 바 있다. 한국에서 남북통일은 수십년 간 학교 교과서와 정부 공익광고에 등장하는 명백한 ‘국가적 목표’였으나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젊은 세대는 통일에 관해 득보다는 실이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남대 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의식조사’에서 북한을 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학생이 33.5%로 과거보다 2배 이상 높아졌으며, 북한의 핵보유에 대해서는 64.2%가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고 향후 남북관계 전망에 대해서도 63.4%가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경제가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젊은 세대들이 취업의 문턱을 넘으려 애쓰다보니 통일 같은 건 신경 쓸 틈도 없어 보인다. 청년실업률이 전체 실업률(3.2%)의 배를 넘고 대학생 하나 졸업시키는 데 집안 기둥뿌리를 뽑아야 할 만큼 힘든 상황에 반백년 넘게 떨어져 있던 한 민족의 이야기란 그저 ‘귀찮고 난폭한 이웃’ 그 이상으로 와 닿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통일이란 경제적으로 보나 민족 역사적으로 보나 반드시 이루어야 할 과업이다. 이 땅에 먼저 살다간 이들의 간절한 열망이고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평생의 한이기도 하다.

이를 잊지 않고 이루기 위해서는 보다 큰 그림을 볼 필요가 있다. 당장 우리가 살기 바쁘고 상대를 받아들일 여유가 없다고 밀어두기에는 남은시간이 많지 않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처럼 전쟁직전의 일촉즉발의 상황 또한 결정적인 역사전환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 정치권과 민간이 힘을 합하여 한반도 문제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모쪼록 이 상황을 잘 이겨내어 우리가 그렇게 목놓아 노래 부르던 우리의 소원을 이룰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바래보는 바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