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2℃
  • 구름조금강릉 7.2℃
  • 서울 3.8℃
  • 대전 6.0℃
  • 구름조금대구 7.7℃
  • 맑음울산 8.1℃
  • 흐림광주 7.1℃
  • 맑음부산 8.4℃
  • 흐림고창 6.4℃
  • 구름많음제주 10.4℃
  • 흐림강화 2.6℃
  • 흐림보은 5.6℃
  • 흐림금산 5.4℃
  • 구름많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8.1℃
  • 구름조금거제 8.3℃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유튜브, 자유로움이 독이 된다

유튜브 전성시대다. 2005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는 현재 전 세계 최대 무료 동영상 사이트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이용자수가 18억명(올해 5월 기준) 이상에 달하는 유튜브는 어느새 이 시대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유튜브가 이토록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튜브는 일반인도 누구나 쉽게 접근해 영상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때문에 기존의 미디어 채널보다 신선하고 개성 있는 양질의 콘텐츠가 존재한다. 특히 누구나 자신이 올리고 싶은 동영상을 자유롭게 업로드하고 공유하며 이른바 ‘유튜버’가 될 수 있고,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 다른 SNS 매체와도 연동이 간편해 더욱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유튜브의 자유로움이 독이 되어 가고 있다. 유튜브로 수익을 내기 위해 ‘자해영상’과 같은 자극적인 영상을 올리고, 이런 영상은 청소년을 비롯한 어린 아이들에게도 쉽게 노출되어 큰 문제가 된다. 유튜브의 주요 이용자는 10~20대로 이들의 유튜브 사용률은 무려 86%에 달한다. 특히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는 장래희망으로 유튜버와 BJ가 1순위로 떠오를만큼 관심이 높은데, 유해한 영상을 보고 그를 따라해 영상을 올리는 초등학생들도 있어서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유튜브에 ‘따라 하기’라는 단어를 검색(올해 8월 기준)하면 1만9천2백 개의 영상이 뜨는데, 초등학생들이나 청소년들의 영상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는 엄마의 자는 모습과 옷을 갈아입는 모습 심지어 속옷을 입은 모습까지 몰래 찍어 올리는 ‘엄마몰카’부터 스스로 자기 몸에 상처를 내고 동영상을 찍어 올리는 ‘자해인증샷’까지 자극적인 영상을 만들어 올리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유튜브에 업로드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있기는 하지만 현행 방송법의 규제 대상이 아닌 유튜브에 대해 기존 방송처럼 행정처분 등의 징계를 내리지는 못하고 콘텐츠 규제를 권고하는 식의 조치만을 취하고 있다. 또한, 유튜브 자체적으로도 선정적 콘텐츠 등을 제한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지만, 신고가 들어오면 조치를 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아직까지 ‘유해 콘텐츠’에 대한 제대로 된 규제를 하지 않고 있다. 유튜브가 해외에 서버를 둔 업체라 대처가 쉽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정부가 더 강경히 대처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우리가 이러한 콘텐츠들을 소비하지 않는 자세 역시 필요하다. 유튜버가 혐오를 조장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행동들을 해도 단지 재밌다는 이유로 그 콘텐츠를 소비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그것은 유명해지고 그 유명세가 곧 유행으로 자리 잡는다. 유행에 민감하고 충동적 성향이 강한 청소년들이 유해한 콘텐츠에 노출되지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유튜브를 더욱 유익하고 재미있는 웹사이트로 만드는 것 또한 우리의 몫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