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한글을 사용하는 인구가 전 세계 인구 중 7천7백39만 명으로 언어 사용 인구 순위가 13위이며, 최근 ‘세계지식재산권기구’는 한글을 9번째 국제 공개어로 채택하기도 했다.
이 말은 세계 많은 사람이 과학적인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한글을 공식문자로 지정한 나라도 있는데 인도네시아 부톤섬의 찌아찌아부족이 대표적인 그 예이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국내 여러 기관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단체 백일장을 열기도 했으며 미국, 일본, 프랑스, 호주 등 많은 국가들이 한국어를 제 2외국어로 채택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이 한글의 주인인 우리는 한글을 얼마나 사랑하고 있으며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가. 예컨대 인터넷에서는 한글인지 외국어인지 의미와 형태가 불분명한 신조어가 난무하고 일상생활에서는 비속어를 마구잡이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우리가 얼마나 한글에 무심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조상들이 물려준 세계적 문자인 한글을 보존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지는 못 할망정 더 황폐화 시키고 있는 우리들이 참으로 부끄럽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도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큰 자산이지만, 한글도 역시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큰 자산이라 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우리 세대가 한글 본연의 가치를 잃어버린 문자를 후손들에게 물려준다면 과연 우리 후손들은 어떤 언어를 쓰면서 살아갈지 걱정스럽다.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올바른 한글 사용하기를 실천하여 보다 온전한 한글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는 ‘어린 백성’을 위해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뜻을 잇는 것이며 후손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이다.
따라서 쪽글(한글학회는 문자메세지의 순 우리말을 쪽글로 정했다)을 보내거나 인터넷에서 대화를 할 때 올바른 한글을 사용하려 노력하고 우리사회에 올바른 한글 사용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힘써야겠다. 이것은 개인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