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익명성을 좋아하는 당신에게

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길 좋아하는 사람 중 한명이다. 이러한 성격이 반영되어 지난 1009호와 1010호 1면에는 ‘수강신청은 누구나, 수업은 누구만?’, ‘공통교양영어 과정 대폭 개편’’ 이라는 기사를 쓸 수 있었다.

수강신청의 기사는 수강신청의 문제점에 대해, 개편된 공통교양영어에 대해서는 학교 측의 홍보 미흡에 대해 지적하는 기사였다. 특히 수강신청 기사는 막 수습기자 딱지를 뗀 나의 첫 기획취재 기사이기도 했기에, 잘 써 보겠다는 의욕이 넘치던 때였다. 그렇기에 비사광장에 글을 올린 학우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하며 취재요청을 하고, 내가 준비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과 그들의 불만을 써 내려 갈 때마다 이 문제에 대한 문제의식도 깊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마지막 고비가 있었다. 바로 취재원의 실명공개 여부. 직접 만나거나 전화로 취재를 했던 많은 학생들이 취재 요청에도 흔쾌히 응해주고 나의 질문에 대해서도 잘 대답해 줬지만, 기사에 실명을 넣어도 되겠느냐는 질문에는 흔쾌히 허락해 주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다.

익명으로 처리해 달라는 학생에게 조심스레 그 이유를 묻자, “이름이 나가면 학교 측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을 거 같아요”라고 대답한 학생이 대부분이었다. 기자로서, 취재원의 익명보호 요청에 대해 반드시 지켜야 된다는 것은 불문율과 같은 사실이다. 그들의 대답을 기사로 쓸 수 없다는 아쉬움도 들었지만 한편으론 학생들이 학교 측에 당당히 요구하고 시정 요청에 대해 자신의 이름을 밝히기가 무서워 말을 꺼내지 못한다면, ‘과연 계명대학교에 진정한 발전이 있을 수 있을까’라는 걱정이 앞선다.

학생들이 자신들의 요구와 권리를 학교 측에 자유롭게 개진하고, 학교 측 또한 학생들의 합당한 요구들에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문화가 정착될 때, 학생과 학교가 하나 되는 계명대학교가 되지 않을까?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