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9.3℃
  • 맑음강릉 28.0℃
  • 맑음서울 22.5℃
  • 맑음대전 20.9℃
  • 맑음대구 23.7℃
  • 맑음울산 21.8℃
  • 구름많음광주 22.4℃
  • 맑음부산 22.3℃
  • 구름많음고창 18.4℃
  • 흐림제주 23.0℃
  • 맑음강화 18.1℃
  • 맑음보은 18.5℃
  • 맑음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9.2℃
  • 맑음경주시 19.6℃
  • 맑음거제 20.4℃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125주년 특집 인터뷰] 한국학 연구계가 세계로 나아갈 방향

한국학 석학 마크 카프리오 교수와 마야 슈틸러 교수에게 묻다

 

우리학교가 창립 125주년을 맞아 국내외 석학들을 초청한 가운데 ‘디지털 시대의 한국학 : 연구자원, 도구, 방법론’을 주제로 한국학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인터뷰에서는 한국학 전문 석학인 마크 카프리오(일본 릿쿄대학·한국학) 명예교수와 마야 슈틸러(미국 캔자스 대학·한국 미술사) 교수를 만나 한국학 연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 동북아 이슈에서 시작된 한국에 대한 관심

마크 카프리오(이하 카프리오) 교수는 평소 동북아 이슈에 관심이 많았다. 학부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그가 일본에서 영어 교사로 지낸 것도 동북아에 대한 관심의 영향이었다. 그는 한국학에 관심 갖게 된 배경에 대해 “일본에서 영어 교사로 근무하다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고, 한국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어요.”라며 계기를 밝혔다.

 

● 한국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계기

카프리오 교수가 한국에 관심갖게 된 이후, 그는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그러나 워싱턴대학교에서 한국학은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 많이 없었을뿐더러, 그마저도 정치학 위주로 수업이 꾸려졌다. 카프리오 교수는 정치학에 큰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공부 방향성에 대해 고민했다. 그는 “한국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제임스 팔레 교수님이 저에게 많은 도움을 주셨어요. 한국의 역사를 자세히 들여다 보고, 관심 갖도록 도와주셨거든요.”라며, 한국 역사에 대해 관심 갖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역사학자 제임스 팔레 교수는 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학 박사를 취득하고, 여러 대학에서 한국학 교수로 지내며 많은 한국학 제자를 양성한 교수였다. 그는 팔레 교수의 도움으로 한국의 역사를 자세히 들여다 보게 되었고, 한국학 박사 과정을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었다.

 

● 현재 한미일 관계에 관심 많아 고민 중

카프리오 교수가 주목하는 연구 분야는 한미일 관계다. 미국인이면서 한국과 일본 모두에 관심이 많은 그에게 있어 이 연구 분야는 깊게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는 학문 중 하나였다. 그는 “현재는 일제강점기 시대와 그 이후의 시기를 중점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안에는 한국전쟁도 포함돼요. 평화헌법에 따라 전쟁할 수 없는 국가인 일본이 어떻게 군사를 가지고 한국전에 참전했는지, 미국이 여기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 이런 국제관계를 계속 연구하는 과정에 있어요. 앞으로도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민해볼 생각입니다”라며 앞으로의 포부도 밝혔다.

 

● 그간 이뤄진 한국학 분야의 변화, 그 이후는?

카프리오 교수는 한국학이 크게 확장되었다고 평가했다. “한국학 연구 초창기였던 90년대만 해도, 컨퍼런스에 참석하면 대화를 나눌 사람이 한정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컨퍼런스에 가면 너무나 많은 사람이 있고, 흥미로운 주제를 많이 가지고 옵니다”라며 최근의 컨퍼런스 분위기를 설명했다. 특히 이러한 컨퍼런스에서 듣게 되는 주제들은 공부할 생각도 못했던 다양한 주제라는 점에서 한국학은 앞으로 논의할 주제가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여러 학문과 연관돼 발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주도적으로 학문을 탐구해야

카프리오 교수는 한국학 공부를 꿈꾸고 있다면 주도적으로 학문을 탐구해볼 것을 권했다. 그는 “주도적으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 공부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