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5℃
  • 구름조금강릉 -0.3℃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1.5℃
  • 맑음대구 0.7℃
  • 맑음울산 0.1℃
  • 맑음광주 0.3℃
  • 맑음부산 0.6℃
  • 맑음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5.5℃
  • 맑음강화 -0.8℃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4.0℃
  • 맑음강진군 0.6℃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1.8℃
기상청 제공

‘세종의 왕; 民’, 창작무용으로 전하다

무용전공 학생들, ‘제4회 궁중문화축전 전국 대학생 무용제’ 은상 수상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한국문화재재단이 주관한 ‘제4회 궁중문화축전 전국 대학생 무용제’에서 우리학교 한국무용단 학생들이 은상을 수상했다. 지난 4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행사에서 우리학교 한국무용단 학생들은 ‘세종의 왕; 民’이라는 작품으로 은상과 함께 상금 3백만 원을 받았다. 우리학교 무용전공 재학생과 졸업생 23명으로 구성된 한국무용단은 세종대왕의 백성에 대한 마음(애민사상)을 작품 속에 녹여, 현 시대를 살아가는 국민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국무용단 23명을 대표해 김재정(무용·3) 씨, 이교경(무용·3) 씨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작품 속에 녹인 세종의 애민사상

올해 4회를 맞이한 궁중문화축전은 세종 즉위 6백년을 기념해 ‘세종 6백년, 미래를 보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궁중문화축전’은 대학 창작무용 작품을 발굴함으로써 대학무용 활성화 및 국내 무용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기획된 무용제이다. 우리학교 한국무용단 학생들은 ‘세종의 왕; 民’이라는 작품으로 이번 무용제에 참가했다. 김재정 씨는 “세종의 백성을 향한 따뜻한 마음을 무용을 통해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교경 씨는 “세종의 애민사상을 작품 속에 녹임으로써, 세종의 따뜻한 마음을 전달하고 싶었다.”며, “현실에 지친 이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전하고 싶었다.”라고 작품의 취지를 밝혔다.



함께 흘린 땀방울들이 모여 은상 수상까지

팀을 이끈 김재정 씨는 무용제에서 은상 수상이라는 결실을 맺게 된 데 대해 “23명의 팀원들 모두가 한마음으로 열심히 땀 흘려가며 준비한 것이 수상으로 이어진 것 같아요.”라며, “한 달이라는 시간동안 저희가 멋진 작품을 접하고, 큰 무대에 오를 수 있도록 지도해주신 장유경(무용·교수) 단장님과 여러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무용제를 준비하는 매 순간은 소중한 기억이 되었고, 잊지 못할 추억이 되었다. 이교경 씨는 “매일 꾸준히 무용제를 준비하면서 함께 즐거워하고, 웃고, 관리가 힘든 한국 전통악기인 ‘바라’라는 공연 소품을 스스로 정비하면서 서로 대견해하며 감탄했던 순간이 떠올라요.”라며 “저희의 공연준비에 대한 불타는 열정과 노력이 은상수상이라는 큰 결실로 맺어진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우리’가 아닌 ‘모두’를 위해 기부

참가한 팀 중에서 두 번째로 큰 상을 수상하게 된 우리학교 한국무용단 학생들은 상패와 함께 상금 3백만 원을 수령했다. 한국무용단 학생들은 이 상금 전액을 우리학교 무용과의 발전을 위해 학교에 기부했다. 김재정 씨는 “‘춤’에 대한 열정이 가득한 저희가 모여 무용제에서 이런 큰 상을 받게 된 것만 해도 충분히 감사한 마음이에요.”라며, “우리학교 무용과의 발전을 위해 이 상금이 소중한 곳에 사용되었으면 좋겠어요.”고 말했다. 이교경 씨는 “23명의 친구들 모두가 함께한 순간들이 상금보다 더 귀했어요.”라며, “앞으로도 함께 땀방울 흘리며 또 다른 무용제 준비를 하고 싶어요.”라고 전했다.


한국무용단 학생들은 계속해서 크고 작은 공연들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무용전공 연구발표회’를 위해 연습하고 있다는 김재정 씨와 이교경 씨를 비롯한 무용전공 학생들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