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9.2℃
  • 맑음강릉 -2.2℃
  • 맑음서울 -6.7℃
  • 맑음대전 -4.7℃
  • 맑음대구 -1.4℃
  • 맑음울산 -1.0℃
  • 광주 -0.3℃
  • 맑음부산 -0.9℃
  • 흐림고창 -1.6℃
  • 흐림제주 5.4℃
  • 구름조금강화 -8.0℃
  • 맑음보은 -4.6℃
  • 흐림금산 -4.7℃
  • 흐림강진군 0.7℃
  • 맑음경주시 -2.0℃
  • 맑음거제 0.2℃
기상청 제공

대학생이 중고 거래를 하는 이유

‘가치 소비’ 중시 트렌드 반영

 

코로나19로 급감했던 소비가 다시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을 ‘보복소비’라고 한다. 이는 외부요인에 의해 억눌렸던 소비가 보상 심리로 한꺼번에 분출된 것이다. 그러나 요즘 트렌드는 이와 반대개념인 ‘가치소비’다.

 

가치소비는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은 물건에 과감히 투자하고, 다양한 방면을 고려하며 합리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가치소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합리적인 소비를 위한 중고 거래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활발한 대학생 간의 중고 거래,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경우 중고 거래 게시판이 따로 존재한다. 게시판 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품은 의류이다. 의류와 같이 각자만의 취향과 개성이 있는 제품의 경우 사람마다 물건에 매기는 가치가 달라 중고 거래의 특성을 이용하기 좋다. 실제로 향수를 자주 거래하는 오유정(문헌정보학과·2) 씨는 “시향하고 구매하여도 막상 제 체취와 섞이게 되어 원하는 향이 나오지 않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중고 거래를 통해 쓰지 않는 물건들을 되팔고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학기 초마다 거래가 많아지는 제품도 있다. 대학교 수업에 사용되는 교재는 대개 한 학기만 사용되고 이후에는 대부분 방치된다. 특히 수업 중 인쇄된 문자보다는 디지털 문자가 더 익숙한 최근 대학생들 사이에서 종이 교재는 가격만 비싼 물건일 뿐이다. 비교적 돈이 궁한 대학생들에게 단기간에만 필요한 비싼 교재는 정가의 가치가 느껴지지 않아 중고 거래의 대상으로 많이 되팔리고 있다.

 

새로운 버전을 따라가야 하는 전자기기도 대학생들 사이에서 많은 중고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전 버전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기기를 사용한 후 다시 팔아 새 제품을 구매할 금전을 마련할 수 있고, 구매자는 값싼 가격에 최신 버전의 기기를 얻을 수 있어 양쪽 모두가 이익을 얻는다. 요즘처럼 새로운 버전이 쉬지 않고 나오는 상황 속에서 전자기기의 중고 거래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 예상한다.

 

앞서 말한 세 가지 상황 외에도 급하게 돈이 필요하거나 명품 재판매 등 다양한 이유로 대학생들은 중고 거래를 한다. 짧은 시간에도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지금, 중고 거래 역시 경험을 위한 소비로 여겨져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대학생들은 중고 거래를 통해 비교적 적은 가격으로 많은 제품을 소비할 수 있으며, 윤리적이고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중고 거래 이용률은 높아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