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5℃
  • 흐림강릉 3.6℃
  • 흐림서울 3.8℃
  • 흐림대전 5.3℃
  • 흐림대구 4.0℃
  • 흐림울산 6.5℃
  • 광주 7.2℃
  • 부산 7.8℃
  • 흐림고창 5.6℃
  • 제주 8.8℃
  • 흐림강화 3.4℃
  • 흐림보은 3.5℃
  • 흐림금산 3.0℃
  • 흐림강진군 8.5℃
  • 흐림경주시 3.4℃
  • 흐림거제 7.4℃
기상청 제공

‘더치페이는 거래가 아니라 배려다.’

남자의 머릿속에는 ‘돈 없는 남자=능력 없는 남자’라는 공식이 내재되어 있다. 그래서 여자가 더치페이를 제안하면 괜한 자존심을 내세우며 민감하게 반응한다. 자신을 무능력한 남자로 본다고 오해하기 때문이다. 이 오해만 풀리면 자연스럽게 서로가 서로의 경제적인 사정에 맞춰 즐거운 데이트를 할 수 있다.

먼저 더치페이의 속성부터 살펴보자. 더치페이는 어디까지나 규칙이 되어서는 안 된다. 즉 내가 한 번 샀으니까 너도 한 번 사야한다는 공식이 정해진다면 돈이 없는 사람이 불리하게 되어있다.

오늘 내가 돈이 많으면 내가 더 낼 수 도 있고, 나의 사정에 맞춰 상대방이 더 낼 수도 있다. 이렇듯 유연하게 대처해야 서로에 대한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남자 친구에게 더치페이를 제안할 때는 데이트 비용 부담을 위한 목적에서 더치페이를 제안해서는 안 된다. 그럼 남자는 여자에게 부담을 주는 남자라고 생각하게 된다. 스스로를 능력 없는 남자라고 자존심 상해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남자의 기분을 상하지 않고 더치페이를 제안할 수 있을까?

첫 번째, “오늘 저녁 너무 맛있어서 자기 화장실 갔을 때 내가 계산했어. 자기에게 맛있는 것 먹이고 싶었거든.” 명분을 제공하면 남자는 자존심 상하지 않고, 여자의 호의를 받을 수 있다. 두 번째, “자기도 학생이잖아?” 돈이 없어서 더치페이를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입장이 그래서 더치페이를 제안한다는 뉘앙스를 풍기도록 하자. 이것은 입장을 이해하는 배려로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자기를 사랑하니까 나도 뭔가를 해주고 싶어.” 사랑하는 마음이 전제가 된 더치페이라면 자존심 상할 이유는 없다. 만약 그런 이유로 자존심을 내세운다면 그는 아주 옹졸한 남자일 뿐이다.

내가 한 번 샀으니까 나도 한 번 사는 것이 더치페이가 아니다. 서로가 사랑하니까, 배려하기 위해서 내가 가진 것을 상대방에게 아낌없이 주는 것이다. 이런 마음이 전제되지 못한 더치페이는 치밀한 계산 하에 사랑을 주고받게 되며, 조금만 손해 본다는 생각이 든다면 냉정히 그 사랑을 버리고 만다. 그 사람에게 있어서 그 사랑은 거래였기 때문이다.
더치페이 얼마만큼 해야할까요?
요즘 데이트 비용에 대해서 이런저런 말이 많아서 남자친구에게 더치페이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랬더니 남자친구가 자존심 상한다면서 화를 내더라고요. 자신이 능력 없게 보이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예민해보였습니다. 그렇다고 데이트 비용을 전액 다 남자친구에게 내게 하고 싶지는 않은데 어떻게 하면 남자친구가 기분 나쁘지 않게 더치페이를 할 수 있을까요?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