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11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2018 동산도서관 가을 페스티벌’이 동산도서관에서 열렸다. 올해는 ‘도서관, 내 마음의 책 처방소’를 주제로 개최돼 ‘근로학생을 이겨라!’, ‘작가 초청 강연’, ‘독서퀴즈대회’, ‘도서관 속 작은 약방’, ‘추억의 엽서’, ‘책 제목 이름 삼행시 짓기’ 등, 모두 18개의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인권영화 상영회’, ‘고문헌 전시회’ 등의 강연 및 전시 행사도 열렸으며, 학생 3천8백여명이 참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독서퀴즈대회에서 1등을 차지한 황혜영(영어교육·4) 씨는 “4학년 마지막 행사라 참여했는데 생각보다 어려워 중간에 포기할까도 했으나 열심히 해보자는 마음에 끝까지 노력했다.”며 “생각보다 좋은 성적을 거둬 놀랐고 기쁘다.”고 말했다. 또한 모범 이용자 단행본 대출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한 윤은지(경영학·3) 씨는 “사람과의 대화에서 느낄 수 있는 온기를 책을 읽으면서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이재룡(학술정보지원팀) 선생은 “가을에서 겨울로 바뀌는 지금, 혹시라도 힘든 일이 생긴다면 도서관에서 위안을 받아 가면 좋겠다.”며 “학생들이 잠깐 흥미만 느끼고 잠깐 즐기다
‘영남 지역 고을의 형성과 변천’을 주제로 한 한국학연구원 학술대회가 지난 11월 23일 의양관 207호에서 개최됐다. 학술대회는 우리학교 대학인문역량강화(CORE)사업의 일환으로, 영남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고을 단위로 역사적 변천을 추적하고 공간 구조의 복원을 시도하고자 마련됐다. 1부에서는 박성현(사학) 교수가 ‘신라 문소군(聞韶郡), 송선군(崇善郡)의 구조와 군현 편성원리’, 김일수(경운대·인문창의) 교수가 ‘일제강점기 경북지역 행정구역 변동의 역사적 의미’를 발표했다. 2부에서는 한기문(경북대·사학) 교수의 ‘고려시대 경산부(京山府)의 성립과 변천’, 박종진(숙명여대·역사문화학) 교수의 ‘고려시기 ‘울주지역’의 성립과 지리적 범위’, 김백철(사학) 교수의 ‘조선시대 상주의 통치구조와 중층적 위상’, 김현종(한국학대학원·박사과정) 씨의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이용한 조선시대 교통로 복원: 대구부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어 김성우(대구한의대·글로벌관광학) 교수의 사회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이윤갑(사학·교수) 한국학연구원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앞으로 여러 전문가들과 같이 생각하고 공부하며 방안을 모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난 11월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우리학교 영암관 및 스미스관 내 강의실과 로비에서 ‘제3회 코어취업주간’이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인문MICE캡스톤디자인’ 학생들이 한 학기동안 이번 행사를 직접 조사, 기획, 실천하여 실용적 창의인문인재, 인문기반 문제해결형 글로벌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실무 배양 및 인문학을 기초로 다양한 코어사업과의 융합을 연계하여 일반 학생들에게 생소하고 다양한 분야를 소개시켜주고자 하는 취지로 개최되었다. 김교승 대구경북기계협동조합 본부장의 ‘글로벌 및 신흥시장 개척분야’, 금진혁 벤처기업협회 대구경북지회 사무국장의 ‘지역 벤처기업 현항’, 배성혁 대동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장의 ‘문화재 조사기관’, 금경화 제이엠커리어 대구지사 지사장의 ‘기업컨설팅 전문가’, 박재영 친절한박세무사사무실 대표세무사의 ‘경영학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김선완 대구경북언론인협회 사무총장의 ‘언론사’, 윤형석 엑스코 총무팀장의 ‘전시컨벤션센터’, 이재광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단장의 ‘ICT’, 장호영 대구경북기계협동조합 차장의 ‘기계자동차’ 취업특강이 진행됐다. 더불어 해외취업 특강, 이미지메이킹 특강, 퍼스널컬러 컨설팅, 취업사진 찍기 등 다양한 취
지난 11월 27일에 실시된 제56대 총학생회 선거에서 기호1번 한대규(공중보건학·3) 씨가 총학생회장, 이재민(국제통상학·3) 씨가 총부학생회장으로 당선됐다. 전체 유권자 1만9천9백12명 중 1만1천5백42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표 8천8백58표(76.7%), 반대표 2천2백68표(19.6%), 무효표 4백16표(3.6%)를 얻어 당선이 확정되었다. 투표율은 57.96%로 작년에 치러진 제55대 총학생회 선거의 투표율인 59.4%에 비해 1.44% 하락락 하였다. 개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31명과 1번 후보측 개표 참관인 10명, KMBS 교육방송국 국원 2명, 본사 기자 1명이 참관한 가운데 오후 11시경 체육대학 B116호 웰니스관에서 진행됐다. 제56대 총학생회장에 당선된 한대규 씨는 “소중한 한 표에 보답하기 위해 누구보다 낮은 자세로 봉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임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입후보한 순간부터 투표하는 날까지 매일 학우님들을 만나 대화하며 느꼈던 감정들과 지금 가지고 있는 초심을 끝까지 잊지 않겠다.”고 당선 소감을 말했다. 같은 날 진행된 단과대학 학생회장 선거에서는 사범대학에 김태양(영어교육·2) 씨, 경영대학에
● 라돈이란? 토양, 건축자재, 지하수 및 천연가스 등에서 주로 발생(ECA, 1995; NCRP, 1976)하는 라돈은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 물질이고, 우라늄의 6번째 붕괴생성물이며, 1급 발암물질이다. 더해서 라돈은 불활성 물질이라서 화학적 반응성이 없다. 또한 라돈의 동위원소는 27가지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 3가지 라돈 종류 (219Rn, 220Rn, 222Rn)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방사능 물질이다(USEPA,2007). 특히, 자연적 방사능 라돈 종류 중에서 222Rn은 상대적으로 긴 반감기(3.8일)를 가지고 있어 충분한 시간 동안 공기 중에 머물러 있으므로 다른 자연 방사선원에 비하여 222Rn과 그의 자핵 종(radon decay products)에 의한 일반인의 자연방사선 피폭 기여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실내 및 실외 공기, 그리고 토양가스에서 발견되고 실내 환경적으로 주목받는 라돈은 222Rn과 자핵 종이다 (Font and Baixeras, 2003; USEPA, 2006; Font et al., 2008). ● 라돈 노출에 따른 인체 영향 및 문제점 높은 농도의 라돈에 노출될 때 폐암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les,
서울역에 도착해 곧바로 탑승동에 입장한다. 하이퍼루프 서울역은 UFO처럼 둥글고, 가운데가 빈 도너츠 형상이다. 탑승동에 들어서면, 바닥이 천천히 회전하는 원반형 플랫폼이 여러 개 놓여있고, 플랫폼마다 3개의 객차캡슐이 위치하고 있다. 2B 좌석을 찾아 앉고 가방은 좌석 아래 바스켓에 넣어둔다. 잠시 후 문이 닫히고 짧은 안내방송이 나오는 동안 내가 타고 있는 객차캡슐-원형플랫폼이 서서히 위층으로 올라간다. 출발층에 올라온 원형플랫폼은 부산행 진공튜브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발알림과 함께 5-4-3-2-1 카운트다운! “뻥” 소리가 귀 뒤로 들리는 순간, 객차캡슐은 앞으로 튀어나간다. 아주 잠깐 몸이 등받이에 밀리는 느낌 후, 모든 상태가 평온해졌다. 나는 스마트수첩을 펴 온라인 메시지를 몇 개를 확인한다. 객실내부 입체스크린으로 나타나는 휴식영상에 편안함을 느끼는 어느새 도착 알림 방송이 나온다. 15분만에 나는 부산역에 도착했다. 빠르면 10년 후 일상이다. 부산과 서울은 논스톱 하이퍼루프로 15분 거리가 된다. 해운대 집-서울 삼성동직장을 오가는 진짜 1일생활권. 하이퍼루프는 무엇일까? 하이퍼루프는 기차도, 비행기도, 자동차도 아니다. 하지만 시작-종착점
생명체들이 가진 구조와 기능은 오랜 세월에 걸쳐 최적화되었다. 이렇게 최적화된 생명체의 생태, 구조, 기능을 모방하거나, 이들로부터 영감을 얻어 주어진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생체모방기술이라고 한다. 거의 모든 생명체는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과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켜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함께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체가 가진 생존 전략이나 효율 극대화 방식에서 영감을 얻기 위해 적자생존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생명체의 생리, 생태, 구조 등을 자세하게 규명하고, 공학적으로 활용 가능한 창의적인 생체모방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사회적·경제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바이오 및 나노과학기술의 수준을 고려하면 향후 생체모방기술 개발이 지니고 있는 잠재력은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생체모방기술은 크게 생명체의 외형이나 구조를 모방하는 외재적 생체모방기술과 생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자연 모사하는 내재적 생체모방기술로 나눌 수 있다. 그동안 개발된 대부분의 생체모방기술들은 대부분 외재적 생체모방기술이다. 대표적인 예로, 새와 곤충의 날개를 모방한 항공기 날개, 엉겅퀴 가시 털을 모방한 벨크로(Velcro), 상어 표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발행인 : 신일희 | 편집인 : 신일희 |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UPDATE: 2019년 01월 30일 17시 4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