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7℃
  • 흐림강릉 0.8℃
  • 흐림서울 3.9℃
  • 흐림대전 5.4℃
  • 대구 5.9℃
  • 울산 6.1℃
  • 광주 7.8℃
  • 부산 7.2℃
  • 흐림고창 6.2℃
  • 제주 12.2℃
  • 흐림강화 3.1℃
  • 흐림보은 5.2℃
  • 흐림금산 5.4℃
  • 구름많음강진군 8.2℃
  • 흐림경주시 6.0℃
  • 흐림거제 7.3℃
기상청 제공

[1159호 독자마당] 두 번째로 좋은 것

가리지 않고 듣는 편이지만 어느 쪽이냐 물으신다면 락(Rock)이 좋다. 락은 70년대가 최고라 생각한다. 레드 제플린의 명곡 <Stairway to Heaven>, 핑크 플로이드의 명반 <the Dark side of the Moon>, 퀸의 명곡 <Bohemian Rhapsody>가 나왔으니, 무슨 말이 더 필요하랴. 두 번째가 60년대다. 더 후, 롤링 스톤스, 비틀스가 미국 빌보드를 점령했던 때다. 셋 다 영국밴드라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고도 한다. 그 중에서도 롤링 스톤스는 두 번째고, 비틀스가 제일이다(더 후는 잘 모른다. 죄송하다). 비틀스 노래로 치자면 두 번째는 잘 모르겠고 가장 좋아하는 곡은 <Free as a Bird>다. 멜로디와 연주도 좋지만 그건 두 번째고, 제일 좋은 건 가사다. 제목만 보고 새처럼 자유롭고 싶다는 얘기구나 싶었다. 아니었다. 가사를 보니 ‘새처럼 자유로운 건 두 번째로 좋은 거’란다. 두 번째라니? 누구나 첫 번째로 원하는 게 아닌가. 여기엔 비틀스 말년의 이야기가 얽혀있다.


잘나가던 비틀스는 언제부턴가 삐걱댔다. 존 레넌과 폴 매카트니 사이에 금이 가면서부터다. 둘은 음악 성향이 달랐다. 레넌은 자기가 쓴 곡에 매카트니가 손을 대는 게 싫었다. 둘은 이따금 부딪쳤고 남은 멤버는 소외감을 느꼈다. 그러다 레넌은 행위예술가 오노 요코에게 푹 빠진다. 밴드는 뒷전이었다. 다른 셋은 오노 요코를 지독히도 싫어했다. 그 사이 매카트니가 밴드를 지휘했다. 조지 해리슨과 링고 스타는 그게 싫었다. 아니, 네가 뭔데? 둘은 탈퇴소동까지 벌였다. 그리하여…… 아, 다 적자니 길고 복잡하다. 아무튼 성실하게 싸워댔다. 그러다 끝내 갈라섰다. 그들 눈에 ‘비틀스’는 좁은 새장이었고, 네 마리의 새는 자유롭게 날아갔다. 1970년 봄이었다.


얼음은 녹고 불은 꺼진다. 하다못해 저 빙산도 녹아내리고 태양도 언젠가는 식는다. 자연사가 이럴진대 인간사의 감정이야 오죽하랴. 비틀스를 갈라놓았던 감정도 결국 스러졌다. 검은 머리 파뿌리 될 때까지 아니 볼 줄 알았으나 1994년, 새들은 다시 모였다. 미발표곡을 모아 앨범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레넌이 죽고 14년 뒤였다. 비틀스는 오노 요코를 찾아간다. 오노는 테이프 두 개를 건네준다. 거기엔 레넌이 만든 미완성곡 데모가 들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Free as a Bird>다. 데모를 틀었다. 레넌의 옅은 목소리와 피아노 반주가 흘러나온다. 비틀스는 거기에 노래와 연주를 입혀 1995년에 발표한다.


다신 만날 수 없는 친구의 목소리를 들으며 비틀스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리움과 후회였을 거다. 비틀스는 서로를 속박으로 여겼다. 새처럼 자유롭게, 혼자 마음대로 지내는 게 최고인 줄 알았다. 그래서 헤어졌다. 매카트니와 레넌은 헤어지고도 싸웠다. 지나간 날 돌이켜 보니 어찌 그리도 어리석었던지. 함께 새장 속에 모여 노래하던 시절이 가장 행복했음을, ‘새처럼 자유로운 건 두 번째로 좋은 것’임을 그제야 깨달았다. 이 곡에서 매카트니는 말한다. ‘우리는 정말 서로가 없이 살아갈 수 있을까?’ 죽은 레넌도 비슷한 후회를 했을까. 글쎄. 다만 레넌의 테이프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for Paul.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