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은 문자가 없던 시대에 ‘무언가’(무엇이든 될 수 있다)를 표현하고자 했던 선사인들의 욕망에서부터 출발하여 다양한 형태의 매체로 발전하였다. 이를테면 메소포타미아의 점토판, 중국의 갑골문 등이 있고 현재에 와서는 수기뿐만 아니라 전자 형태의 기록이 널리 이용되는 추세다. 만약 기록이 없었다면 역사 또한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은 조금도 과언이 아니다. 누군가가 남겨둔 기록으로 우리는 과거의 일을 연구하고, 미래를 구상한다. 그러나 오늘 나는 기록이 인류가 아닌 나 자신에게 미친 영향에 관해 얘기하고자 한다.
이실직고하자면 나는 일기 쓰기를 귀찮아하는 초등학생 중 하나였다. 방학 숙제로 나온 그림일기는 개학을 하루 앞두고 몰아 쓰기 일쑤였고, 일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곧잘 불평하곤 했다. 비단 나뿐만 아니라 많은 학생이 그랬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지만 지금의 나는 기록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고, 대학생이 된 후로는 줄곧 일기를 써왔다. 처음엔 단지 특정 사건, 중요한 약속, 기념일 등을 잊지 않기 위해 썼지만, 시간이 차츰 흐르고 어느새 나는 일기를 통해 하루를 복기함은 물론 ‘나’라는 존재와 친해지게 되었다.
나는 일기, 나아가 기록을 명상에 비유하길 좋아한다. 명상은 편한 자세를 취한 뒤 자신의 호흡을 가다듬으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수용하는 일련의 행위다. 내게 기록이 명상인 이유는, 기록을 할 때만큼은 그 어떤 방해와 소란도 없어지기 때문이다. 즐거울 때, 슬플 때, 분노할 때에 일기장에 글을 써 내려가다 보면 내게 벌어진 모든 일들로부터 한 발짝 벗어나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다. 한 자 한 자 온 진심으로 쓰고 나면 내 정신 혹은 마음이 태초로 돌아간 것처럼 말끔히 비워진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
이런 얘기를 하며 일기 쓰기를 추천하면 혹자는 어떻게 매일 일기를 쓰냐고 얘기하지만, 나라고 해서 매일 일기를 쓰는 것은 아니다. 딱히 기록할 일이 없거나 무진장 피곤한 날엔 일기를 쓰지 않는다. 일기를 매일 쓸 필요는 없다. 다만 기록을 통해 가뜩이나 많은 인생의 짐을 수월하게 이고 가거나, 조금 덜어냈으면 하는 것이다. 요즘은 블로그나 SNS, 어플리케이션이 잘 발달해 있으니 굳이 일기장을 살 필요는 없다. 그러니 나는 이 글을 읽을 불특정 다수에게 자신에게 맞는 편한 매체를 선택하여 오늘 있었던 일을 써보기를 추천한다. 훗날 돌아봤을 때, 기록이 쌓임에 따라 조금씩 성장한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