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한국교육시설학회가 주최하고 교육과학기술부가 후원한 ‘제1회 교육시설디자인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우리학교 정강연(건축학·3) 씨와 정산해(건축학·3) 씨를 만나 수상소감을 들어봤다.
● 수상소감
아직까지도 대상을 수상한 게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저희가 수상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김효진 교수님을 비롯하여 학과 선후배님들의 적극적인 도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수상의 영광을 그분들에게 돌리고 싶습니다.
● ‘제1회 교육시설디자인공모전’이란 어떤 대회인가요?
이 공모전은 교육과학기술부가 후원하며 ‘학교를 만들자! 우리들만의 학교를!’이라는 주제로 전국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열렸습니다. 또 한 한국사회에 대응하는 미래지향적 건축물을 지역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자원을 절약하고 친환경건축 등을 지향하는 공모전입니다.
● 우리나라 학교건축물의 문제점은?
현재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건축물은 지역적 특색을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똑같은 형태와 획일화된 건축물이 줄곧 자리하고 있습니다. 학교는 학생들의 활동력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폐쇄적인 학교건축물로 학생들의 활동력을 억제시키는 것이 아니라, 개방된 공간으로 개선되어 아이들과 학생들의 활동력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입니다.
● 대회를 준비하면서 힘들었던 점은?
아무래도 학교공부와 병행하여 공모전을 준비하다보니 뜻대로 풀리지 않는 일이 많았습니다. 학업에도 소홀해질 수 없다보니 밤새는 일이 허다하였고, 한숨도 못 자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잠을 못 자는 것이 가장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지역사회에서 학교는 소통의 공간입니다. 무엇보다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소통하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기존의 틀을 벗어나 주변이 가지는 환경 특성에 맞춰 도시가 가지고 있는 편리함과 시골의 안락함이 더해진다면 아이들의 활동력을 키울 수 있는 최고의 공간이 될 것입니다. 더불어 이번 공모전에 도움을 주신 많은 교수님들과 선후배님들께 고개 숙여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