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키워드로 보는 세상] ‘MZ세대’는 없다

정치권 필요에 따라 호출되는 MZ세대론
‘세대’로 포괄될 수 없는 청년들은 어디에
 
나는 서른일곱 살, 1985년생이다. 대구 외곽 아파트에 살고 있고,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은 아직 25년이 남았다. 학창시절을 모두 대구에서 보내고 짧은 직장 생활 6개월을 제외하면 수도권에서 살아본 적이 없다. 비장애인 남성, 이성애자로 8년 전 결혼해 아내와 아이 둘을 키우며 살고 있다. 초등학교 1학년, 유치원생 아이 하원 시간에 맞춰 퇴근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런 나와 대학교 1학년을 같은 세대로 분류하는 이유는 도대체 무엇일까.
 
‘MZ세대’의 첫 등장은 아마도 마케팅에서였다. 기업은 늘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고, 그에 맞춰 상품을 개발한다. 그 과정에서 MZ세대를 겨냥한 상품 판매가 시작됐고, 이에 소비자로서 시민은 반응한다. 도대체 1980년대생과 2000년대 초반생을 어떻게 하나로 묶을 수 있냐고 되묻겠지만, 상품을 파는 입장에서는 가능한 이야기다. MZ세대론이 유효한 것은 광고 시장 뿐이다. 컴퓨터와 친숙하고, SNS가 일상이 됐고, TV,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매체와는 거리가 있다. 소비자를 상정한 기업은 MZ세대라는 마케팅 전략이 먹히지 않으면 이내 갈아치우면 된다. 90년대 후반 등장한 N세대(Net Generation) 개념을 다시 언급하는 이들은 없다. 마케팅은 공통적인 경향을 파악하여 물건을 팔아먹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이걸 정치가 덥석 물어버렸다. 어떤 대선 후보는 ‘민지(MZ)야 부탁해’ 캠페인을 했고, 어떤 후보는 ‘무야홍’을 적극 알리기도 했다. 정치인들도 MZ세대 공략에 나서겠다며 여러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일부 언론은 세대 갈등으로 모든 것을 바꿔버리기도 한다. 이른바 MZ세대가 서울교통공사, 현대차동차 등에 복수노조가 설립한 것을 두고 ‘기성노조가 과도하게 정치 참여를 해서 불만이었다’는 이야기를 꺼내든다. 이렇게 새로 설립한 노동조합들이 모두 20대와 30대로 이뤄진 것일까. 정규직 전환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 노동자들의 나이는 제각각이다. 20대도 있고, 50대도 있다. 같은 상황인 한국장학재단 콜센터 노동자도 연령대가 다양하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사회적 이슈가 됐던 인천국제공항공사에도 20·30대가 있었고, 40·50대도 있었다.
 
386세대, 88만원세대, X세대, Y세대 등등. 모든 세대론은 사회의 경향을 살피는 의미 정도는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세대론이 개개인의 상황을 다 설명해주지 않는다는 점, 다른 세대와 다른 특별함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세대론은 무언가를 감추고 싶은 이들의 의도만 강조할 뿐이다. 2018년 태안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컨베이어 벨트에 몸이 끼여 세상을 떠난 고 김용균 씨, 2016년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수리 작업을 하다 열차에 치여 세상을 떠난 비정규직 김군도 MZ세대에 포함된다. 또, 지난 19일 서울 중구에서 스토킹 살해를 당한 32살 여성도 MZ세대 일원이다. 가해자도 35살이다. 이런 문제가 불거질 때는 세대가 언급되지 않는다. 노동권, 성적자기결정권의 문제 앞에 MZ세대가 등장하지 않는다. 
 
MZ세대는 써먹을 필요가 있는 사람에 의해서만 호출된다. “우리가 무슨 호구냐, 부르면 달려 나가게”라는 의문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기자칼럼] 렉카유튜버, 혐오가 돈이 되는 세상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고, 양방향 소통 매체인 유튜브가 한국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유튜버’는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하나의 직업이 되었다.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영상을 올리고, 시청자가 해당 영상을 클릭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부와 명예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악용하는 소위 ‘렉카유튜버’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렉카유튜버’는 특정인에게 일어난 이슈나 사건 등을 영상화하여, 해당인을 모욕하고 비난하는 유튜버다. 과거엔 사건을 전달하는 역할만 한다는 점에서 이슈유튜버로 정의됐지만, 사건에 대해 모욕과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난폭운전으로 사고 현장에 달려오는 렉카(사설 견인차)와 비슷해 렉카유튜버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이들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타인의 이슈를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된 정보를 전달해 이득을 취하려 하기 때문이다.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라도 단독으로 내용을 전달하면, 유튜버의 수익과 직결되는 조회수가 증가하고 ‘진실을 밝히는데 기여하겠다’는 후원자가 생기기도 하는 등 이들에게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 심지어 정기로 고액을 후원하는 시청자도 심심치 않게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