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1℃
  • 맑음강릉 30.2℃
  • 맑음서울 24.4℃
  • 구름조금대전 25.0℃
  • 구름많음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23.7℃
  • 구름조금광주 25.1℃
  • 구름조금부산 19.4℃
  • 구름조금고창 21.0℃
  • 구름조금제주 21.1℃
  • 구름조금강화 17.0℃
  • 구름많음보은 23.8℃
  • 구름조금금산 23.6℃
  • 구름조금강진군 24.8℃
  • 구름많음경주시 26.3℃
  • 구름조금거제 21.0℃
기상청 제공

연세대의 '과제 돌려받기 운동'

학업능률 항상, 토론위주 강의 확대 효과

강의를 듣다보면 강의와 관련된 과제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것은 대부분 학생들이 공감하는 부분일 것이다. 과제를 수행하다보면, 자신이 제출한 과제의 문제점을 모르는 상태로 별 개선 없이 학기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 성적 평가에서도 불이익을 얻게 되고, 그로 인해 불만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연세대 문과대학 학생회에서 추진한 ‘과제 돌려받기 운동’이 있다.

2006년 1학기 말부터 시행한 이 운동은 학생회에서 직접 개발해 추진한 운동으로 학생들이 리포트 등의 과제물을 제출하면, 교수들의 첨삭지도를 거쳐 학생들에게 돌려줌으로써, 학생들의 학업능률 향상, 교수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확대, 토론 위주 강의의 확산화 등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학업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연세대의 박상은 전 문과대 학생회장은 “새로운 과제 문화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과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며 “학생들이 과제물을 돌려받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대학도 몇몇 교수들이 과제를 돌려주고 있지만 그 수가 많지 않다. 우리대학의 과제물 관련 문제에 대해 황석훈(통계학(야)·3)총학생회장은 “과제 돌려받기 운동이 실행된다면 학생들의 학업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현재로써는 확답하기 어렵다”고 말하며 “현재 우리 학생회에서도 튜터 제도와 같이 학생들의 학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해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