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22.3℃
  • 맑음강릉 26.8℃
  • 구름많음서울 22.8℃
  • 구름많음대전 24.6℃
  • 구름많음대구 27.8℃
  • 맑음울산 19.5℃
  • 맑음광주 22.6℃
  • 맑음부산 19.7℃
  • 맑음고창 20.3℃
  • 구름많음제주 20.3℃
  • 구름조금강화 16.5℃
  • 구름많음보은 24.7℃
  • 구름조금금산 22.4℃
  • 구름조금강진군 22.4℃
  • 구름조금경주시 23.0℃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백화점-대형마트 매출 양극화 심화

백화점 매출증가.마트 감소 4개월째

(서울=연합뉴스) 김종수 기자 = 경기와 소비심리 회복 속에 상대적으로 고가품을 취급하는 백화점의 매출 증가폭이 더욱 빨라지는 반면, 대형마트(동일점포 기준)의 매출은 계속 위축되는 유통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16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대 백화점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8.6% 늘어났다.

3대 백화점의 매출은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작년 같은 달보다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9월의 매출 증가세는 지난 1월(10.4%)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반면, 지난달 3대 대형마트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6.0% 감소했다.

3대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세는 지난 6월부터 넉 달 내리 이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3대 백화점 매출의 증가세와의 격차도 추세적으로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9월 백화점 매출에서 가장 호조를 보인 것은 명품으로, 작년 9월보다 21.9% 증가하며 지난 3월 이후 최고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 가정용품(12.2%), 잡화(10.5%), 식품(9.9%) 등도 호조를 보이는 등 전 상품군에서 매출이 늘어났다.

백화점들의 매출 호조는 명품 판매 회복과 더불어 추석이 10월로 옮겨가면서 영업일수가 지난해보다 하루 늘고 추석 선물세트의 판매가 호조를 보인 점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비해 대형마트는 최대 매출상품인 식품 매출이 4.9% 줄어든 것을 필두로, 가전.문화(-11.4%), 잡화(-11.4%), 의류(-2.5%) 등 전 분야의 매출이 감소했다.

지경부는 "중산층의 구매가 위축된데다 기업형 슈퍼마켓(SSM), 사이버 쇼핑몰 등 새로운 유통채널의 등장이 대형마트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 전국의 SSM은 지난 2006년 292개에서 지난해 477개로 늘어난데 이어 올해 8월에는 618개로 증가했고 사이버 쇼핑몰 매출의 작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올해 8월 22.6%에 이르러 대형마트의 매출에 압박요인에 되고 있다.

한편, 9월의 대형마트 구매건수는 작년 동기 대비 4.1% 줄어든데 비해 백화점은 5.8% 늘어났고 1인당 구매단가도 대형마트는 2.0% 줄었으나 백화점은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jsking@yna.co.kr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