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8.6℃
  • 구름조금강릉 17.6℃
  • 박무서울 11.7℃
  • 구름많음대전 10.3℃
  • 맑음대구 13.1℃
  • 구름조금울산 14.9℃
  • 구름많음광주 12.5℃
  • 구름많음부산 15.9℃
  • 구름많음고창 9.3℃
  • 구름조금제주 14.0℃
  • 구름조금강화 7.0℃
  • 구름많음보은 8.1℃
  • 구름조금금산 8.0℃
  • 구름많음강진군 10.2℃
  • 맑음경주시 11.3℃
  • 구름많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의료진 평가.진료비 공개 국가포털 구축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박용주 기자 = 병원과 의료진에 대한 평가와 진료비를 낱낱이 공개하는 의료 정보 국가 포털이 연내에 생긴다.

또 병원의 홍보, 마케팅, 공동장비 구매 등 경영지원 업무를 하면서 다양한 투자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대형 병원경영지원회사(MOS)가 활성화되며, 소화제 등 일반의약품(OTC)은 약국 외 판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외국 교육기관 유치를 위해 결산상 잉여금의 해외송금 허용이 추진되고 외국 교육기관에 대한 중앙 정부의 유치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다.

1일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비스 선진화 방안'을 마련해 내달 중순께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서비스 규제 완화의 핵심은 의료와 교육이며 의료는 점진적인 영리법인 허용과 일반인들이 상품을 고르듯 병원에 대한 정보를 잘 알 수 있도록 국가 포털을 만드는 것"이라면서 "외국교육기관 유치도 반드시 필요해 영리 법인과 과실 송금 허용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의료 부문에서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포털을 만들 예정이다. 이 포털에는 기존에 공개된 의료기관 평가와 요양급여적정성 평가 결과가 게재되며 병원별 단위 서비스 가격과 각종 질병별 진료비용 등도 공개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각 병원과 의료진의 자격 및 면허와 소비자용 진료 지침도 국가 포털에 올려 의료 정보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를 향상시킨다는 복안이다.

대형 병원경영지원회사(MSO) 설립도 탄력을 받게 된다.

그동안은 영리 의료법인 금지 때문에 치과나 한의원 등 일부 개인병원들이 가맹점 형태로 공동 브랜드를 설립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앞으로 중소 규모 병원간 인수.합병을 통해 구조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삼성의료원 등 일부 대형 병원은 MSO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소화제 등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도 이번 의료 선진화 방안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외국에선 소화제와 같은 간단한 약은 의사 처방 없이 슈퍼에서 사먹을 수 있지만 우리는 약국에서만 살 수 있다. 이것만 풀어도 제약업계 매출이 많이 늘어날 것"이라며 추진 방침을 내비친 바 있다.

교육 부문에서는 우수 외국 교육기관 유치를 통해 사교육비를 절감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를 포함해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교육기관의 결산상 잉여금 송금의 제한적 허용과 초중등 외국교육기관의 내국인 입학비율 완화 등이 검토되고 있다.

삼성디자인스쿨(SADI)과 같은 '기술계 학원'에서도 전문대 졸업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술계 학원에 '학교'라는 명칭을 쓰게 하고 일정 요건을 갖추면 전문대 졸업과 같은 자격의 학사 학위를 줄 방침이다.

이밖에 전자쿠폰 지급을 통해 영세 업체를 돕는 e쿠폰 컨설팅 활성화, 공공고용서비스의 민간위탁 확대, 연기금.금융권.대기업이 공동출자한 글로벌 투자전문기업 육성 및 국제물류투자펀드 조성 등도 검토되고 있다.

president21@yna.co.kr
speed@yna.co.kr
(끝)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