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9℃
  • 맑음강릉 5.8℃
  • 맑음서울 2.6℃
  • 구름많음대전 4.7℃
  • 구름많음대구 6.5℃
  • 맑음울산 7.5℃
  • 광주 3.6℃
  • 구름조금부산 8.3℃
  • 구름많음고창 4.2℃
  • 흐림제주 10.3℃
  • 구름조금강화 2.3℃
  • 구름조금보은 3.9℃
  • 흐림금산 4.3℃
  • 구름많음강진군 9.3℃
  • 구름조금경주시 6.8℃
  • 구름많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교육현장에서 시작된

올바른 휴대폰 문화를 꿈꾸며


세계적으로 이동전화 가입자 비율이 높은 나라는 북구유럽 쪽이다. 스웨덴 같은 경우는 2004년 기준으로 이미 100%를 넘어섰다. 다른 북구유럽 국가들도 대부분 100%대에 근접해 가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는 이제 80%대에 접근해 가고 있다. 상당한 격차이다. 그런데, 겉으로 드러난 면만 보면, 한국만큼 휴대폰이 많이 보급된 나라도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도처에서 이동전화를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의 경우만을 보더라도, 교정에서는 물론이고, 심지어 교실이나 학위 논문 심사장에서조차 벨소리가 들리고, 통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수업시간 중에 울리는 휴대폰 소리는 학생들의 시선을 흩뜨려 수업분위기를 망쳐 놓는다. 학교 바깥은 더 심하다. 한국의 휴대폰은 사람들에게 편리성을 주는 수준을 넘어서 사회적 공해를 유발하고 있다.

앞에서 이동전화가 많이 보급된 유럽국가들 얘기를 했는데, 사실 이들 국가에서는 이런 모습을 보기가 쉽지 않다. 대학의 경우, 교수나 학생들이 캠퍼스에서 이동전화를 사용하는 모습을 목격하기 쉽지 않다. 필자가 6개월 간 머물렀던 남덴마크 대학의 경우, 교실 안이나 그 주변에서 그리고 회의 도중에 전화를 사용하는 모습은 단 한번도 보지 못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이 나라에는 휴대폰이 매우 귀한 것으로 착각을 했다. 후에 알고 보니까, 덴마크는 우리보다도 훨씬 더 휴대폰 보급률이 높았다. 이 나라 대학캠퍼스에서 휴대폰이 잘 보이지 않는 이유는 공적인 장소에서는 전화사용을 자제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지구촌 규범이다.

말을 맺는다. 이제 우리의 휴대폰 문화도 달라져야 한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교육현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필자는 강의실과 복도 그리고 각종 회의장에서는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화하고, 또한 휴대폰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기계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르치는 사람들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 교수가 강의실에 전화기를 가져 들어오고, 논문심사 중에, 면접시험도중에 전화를 받게 되면 학생들도 따라 배우게 되는 것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