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7℃
  • 구름많음강릉 16.8℃
  • 맑음서울 14.2℃
  • 구름많음대전 11.6℃
  • 맑음대구 13.6℃
  • 박무울산 11.8℃
  • 맑음광주 14.7℃
  • 맑음부산 14.2℃
  • 구름조금고창 9.5℃
  • 흐림제주 16.6℃
  • 맑음강화 12.6℃
  • 구름조금보은 9.4℃
  • 구름조금금산 8.7℃
  • 구름조금강진군 11.0℃
  • 구름조금경주시 11.5℃
  • 맑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내 아들이 그럴수가

내 아들 그림을 나도 몰라보다니..

저도 나름 명망 있는 화가로 선생을 시작했는데 교직 생활 몇 년 만에 이런 일은 처음입니다.

우리 반 학생에게 자신이 그린 그림을 가져오라고 했는데 아무도 안가져오더라구요.

처음에는 잘 전달이 되지 않아서 그런가보다 생각했어요. 그래서 아이들에게 손을 들어보라고 했죠. 내가 한 말을 가정통신문에 적어가서 그대로 실행했는지를.

그렇지만 그것은 효과가 없었어요. 다음 날 부터 아이들의 미술과제를 부모님이 옆에서 잘 지도해달라고 가정통신문을 발송한 뒤 반드시 검사를 받아오라고 신신당부를 했습니다. 그 방법의 하나로 나눠준 가정통신문에 싸인을 받으라고 말 했지요.

그 후로 아이들이 작품을 하나씩 가져오더군요. 역시 아이들의 눈으로 세상을 보아서인지 하나같이 서툴고 귀여웠어요. 정말 하나같이..

제가 물어보았지요. “정말 네가 그린 그림이 맞아?”라구요. 아이들은 수줍은 듯 제 눈을 보지 못하더라구요. 하하~

아이들이 만든 작품은 교내 백일장에 전시가 되었답니다. 많은 사람들이 구경하러 왔지요.

개중에는 작품들을 높은 값으로 팔라는 사람도 있었어요. 아이들의 이름표가 붙은 그림을 벌써부터 사람들이 알아보나 싶어서 내심 뿌듯했습니다.

그러나 그 날 행사를 정리하던 중 저는 제 눈을 의심했어요. 백일장에 전시되어 많은 사람들의 칭찬을 받던 그 그림들이 ‘중섭 미술학원’의 도록에 실려 있는 그림이었다는 것을.

그리고 그 모든 그림들을 그린 사람은 바로 제 아들이었다는 것을...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