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9.7℃
  • 구름조금강릉 17.7℃
  • 맑음서울 13.5℃
  • 구름많음대전 14.0℃
  • 흐림대구 16.7℃
  • 울산 14.4℃
  • 구름많음광주 16.0℃
  • 부산 14.1℃
  • 구름많음고창 12.9℃
  • 제주 14.1℃
  • 구름많음강화 11.2℃
  • 구름많음보은 11.2℃
  • 구름많음금산 11.7℃
  • 흐림강진군 14.4℃
  • 흐림경주시 16.0℃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제978호 국어능력시험

● 문제편

(※ 인터넷 환경 상 밑줄 친 부분을 괄호 안에 표기하였습니다.)

1. 명사형이 옳은 것은?
① 만듬
② 베풀음
③ 흔듬
④ 힘듬
⑤ 큼

2.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잘못된 것은?
① 이 옷으로 하(던지) 저 옷으로 하(던지) 빨리 골라라.
② 예전에 입(던) 옷인데 지금은 작아서 못 입는다.
③ 그 아이는 잘 있(던)?
④ 어찌나 재미있(던지) 시간 가는 줄 몰랐어요.
⑤ 그 아이는 체구도 작은데 참 잘 먹(더라).
● 해설편

정답 - ⑤
해설 - ‘-ㅁ/-음’과 ‘-기’와 같이 용언을 명사처럼 쓰이게 하는 어미를 명사형 어미라고 한다. 명사형 어미 ‘-ㅁ/-음’을 어간에 붙여 용언을 명사형으로 만들 때, 받침이 없는 경우에는 ‘큼(크다), 감(가다)’과 같이 ‘-ㅁ’을 붙이고, 받침이 있는 경우는 ‘작음(작다)’과 같이 ‘-음’을 붙인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이 ‘ㄹ’ 받침의 경우인데 ‘ㄹ’ 받침 뒤에 ‘-음’이 결합될 때는 ‘-으’가 탈락하면서‘-ㅁ’은 ‘ㄹ’과 함께 붙는다. 그러므로 ‘만들다’, ‘베풀다’, ‘흔들다’, ‘힘들다’의 명사형은 각각 ‘만듦’, ‘베풂’, ‘흔듦’, ‘힘듦’으로 표기해야 한다.

정답 - ①
해설 - ‘-더-’와 ‘-드-’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더-’는 회상의 경우, ‘-드-’는 선택의 경우에 쓰인다. ‘-던지’는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어미이다. ‘재미있던지’와 같이 지난 일을 회상하는 의미를 나타낼 때 쓴다. 반면 ‘-든지’는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기도 하고,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쓰이기도 한다. ①에는 선택의 의미가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