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코위크(CO-Week) 아카데미’가 지난 7월 1일부터 5일까지 성서캠퍼스에서 진행됐다. 코위크 아카데미는 맞춤형 교육 콘텐츠 학습을 위한 융합·개방형 캠퍼스를 뜻하며, 서울 코엑스, 건국대학교에 이어 올해 개최지로는 우리학교가 선정됐다. 이번 행사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66개 대학에서 2천5백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5일간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 반도체, 지능형 로봇 등 18개 첨단 분야에서 1백75개의 강좌가 운영됐다. 행사 첫날 계명아트센터에서는 코위크 입학식을 포함해 2024 신규 선정 5개 컨소시엄 출범식이 치러졌다. 학생들은 강의 수강과 동시에 명사 강연, 해커톤, 취업 토크 콘서트 등 다양한 부대 행사에도 참여했다. 특히 학생들의 안전한 활동을 위해 캠퍼스 곳곳에 음료대와 간식 부스, 그늘막 등의 편의 시설이 설치됐다. 코위크 입학식에서 신일희 총장은 “코위크 아카데미를 통해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첨단분야 인재 양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지역 학생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우수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대학과
지난 7월 5일, 우리학교 성서캠퍼스 체육관에서 20 24 세계대학태권도 페스티벌 개회식이 열렸다. 5일간 진행된 이번 페스티벌에는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브라질 등 약 56개국에서 1천여 명의 선수단 및 지도자들과 7백명 이상의 관계자들이 참가했다. 세계대학태권도 페스티벌은 2028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대회 출전권을 위한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는 대회다. 대회 종목은 겨루기, 품새 등이 있으며 경기 방식은 Division 1(G1, 겨루기 개인전, 품새), Divi sion 2(블랙벨트, 겨루기 개인전, 품새), Division 3(컬러벨트, 품새)로 진행됐다. 조직위원장을 맡은 신일희 총장은 개회사에서 “전 세계 태권도인들이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길 기대한다.”며 “자유와 스포츠정신이 깃든 이번 대회가 세계의 평화를 위한 발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세계태권도연맹(WT, World Taekwondo)과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Féd ération Internationale du Sport Universitaire)이 주최하고 대구 2024 세계대학태권도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주관했다.
지난 8월 20일, 우리학교 성서캠퍼스와 대명캠퍼스에서 2023학년도 후기 학위 수여가 있었다. 이번 후기 학위 수여에서 학사 1천9명과 석사 3백19명, 박사 56명(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 포함)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학사 학위 수여자 하지열(언론영상학·4)씨는 졸업 소감에 대해 “중국에서 우리학교로 와서 좋아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고 의미 있는 대학생활을 보냈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날 행소박물관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 특별 학위수여식이 열렸으며, 베트남 및 중국 유학생을 비롯한 8개국의 유학생 1백39명이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활동 경비 등에 교직원 기부금 쓰여" 2024학년도 하계 국외봉사가 지난 6월 28일부터 7월 24일까지 인도네시아, 에티오피아, 베트남에서 진행됐다. 이번 하계 국외봉사에 선발된 인원은 총 1백1명으로, 각국에서는 교육봉사, 문화공연, 현지 학생 대상 장학금 전달식 등이 진행됐다. 6월 28일부터 7월 10일까지 인도네시아 브카시에 있는 수카라야 01 초등학교에서 김영규(관광경영학) 교수의 인솔하에 34명의 봉사단은 계명관(도서관) 신축, 교실 환경 개선, 건물 및 담장 도색 봉사를 했다. 이어, 같은 날부터 7월 11일까지 최우정(경찰행정학) 교수와 34명의 에티오피아 봉사단은 6·25전쟁 참전용사 후손 현지 학생들과 만났다. 이들은 살라이시 초등학교를 방문해 계명 놀이터 평탄화 및 건물 외벽 도색 등의 교육환경 개선 작업을 했다. 또한, 에티오피아 6·25전쟁 참전 기념공원을 방문하여 생존 참전용사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베트남 봉사활동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운영됐다. 7월 12일부터 24일까지 김원진(기계공학) 교수의 인솔하에 베트남 1차 봉사단 33명은 다낭 동아대학교 현지 학생들과 함께 계명 놀이터 신축, 건물 도색 및 환경 개선
지난 8월 27일 오랜 기간 학교에 근속한 교원 및 직원의 퇴임식이 진행됐다. 오전 11시 행소박물관 시청각실에서 진행된 ‘2024년도 1학기 직원 퇴임식’에서 박종만(29년 1개월) 선생, 김윤곤(24년 6개월) 선생, 나재식(29년 1개월) 선생이 퇴임했다. 신일희 총장은 기념사를 통해 “오랜 시간동안 선생님들과 함께해 오늘의 캠퍼스를 이루어낸 것에 대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날 오후 3시 ‘2024년도 1학기 교원 퇴임식’이 의양관 운제실에서 열렸다. 김연옥(신소재공학, 33년 6개월) 교수, 유옥희(일본어일본학, 32년) 교수, 장승옥(사회복지학, 28년 6개월) 교수, 공명재(경영학, 26년) 교수, 김영배(언론영상학, 12년) 교수, 이정복(Tabula Rasa Colle ge, 6년 6개월) 교수 등 여섯 명의 교원이 퇴임을 맞았다. 퇴임 교원를 대표해 유옥희 교수는 “총장님 이하 보직을 맡고 계신 모든 교수님들, 그리고 함께해 주신 동료 교수님들과 직원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퇴임사를 전했다.
지난 7월 19일에 교육부와 대한민국학술원이 발표한 우수학술도서에 우리학교 교수의 저서 7종이 선정됐다. 이 중 우리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한 도서는 총 2종으로, 비수도권 대학 중 유일하게 우수학술도서를 발간해냈다. 선정된 도서로는 인문학 분야에 장진영(Tabula Rasa College) 교수의 ‘한·일 공감각 오노마토피어: 감각에서 감정·심리로’, 이재성(Tabula Rasa College) 교수의 ‘한국사회의 현실과 하버마스의 사회철학’, 사회과학 분야에 김창완(벤처창업학) 교수의 ‘고성장기업 육성을 위한 스케일업(Scale up)의 이해와 방법론’, 김백철(사학) 교수의 ‘정조의 군주상: 허상과 실상의 경계’, 자연과학 분야에 신영민(의학) 교수의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기초 지식과 구강내장치 치료의 실천’, 홍정호, 석흥열, 박형종(의학) 교수의 ‘신경계 중환자의학’, 석흥열(의학) 교수의 ‘신경근육질환’ 등이 있다. ‘우수학술도서’ 사업에서는 기초학문 분야 연구 및 저술활동 활성화를 위해 매년 약 3백종의 우수학술도서를 선정하고 있다. 이에 2023년 3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약 2천7백25종이 접수되었으며 최종 2백94종이 선정됐
지난 7월 8일, 아담스 채플에서 신일희 박사가 우리학교 제13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2024년 7월 6일부터 오는 2028년 7월 5일까지 4년간 총장직을 맡은 신일희 총장은 취임사에서 “훌륭한 학생들을 가르쳐 우리 사회의 성장을 위해 봉사하는 데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신일희 총장은 초대 총장으로 부임해 총장과 이사장 등 여러 역할을 이행하며 우리학교 발전에 기여해왔다.
1학년, 처음으로 계명대학교 캠퍼스에 발을 내딛던 날의 설렘과 한 편의 두려움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새로운 환경과 낯선 친구들, 그리고 앞으로의 대학 생활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득했습니다. 서서히 설렘이 익숙함으로 바뀌고 계명대학교라는 환경이 편안해졌습니다. 신입생으로서 느꼈던 두근거리는 마음을 되새기며, 저도 이제 막 대학 생활을 시작하는 후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선배가 되었습니다. 2학년이 되면서 전공 수업은 더 전문적이고 깊어졌고, 과제와 시험의 난이도도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1학년 때보다 달라진 것은 대학교 과목을 공부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어떻게 시간 관리를 하는 것이 좋은지를 익혔다는 점입니다. 교수님들의 조언이나 동기들의 도움 또한 큰 힘이 되었습니다. 서로 궁금한 점을 질문하기도 하고 어려움을 공유하며 더 깊은 우정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단지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인생에서 친구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캠퍼스 생활의 꽃인 동아리 활동과 다양한 대학 축제, 대외 활동들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다양한 학과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고,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저 역
대학교 입학에서는 설렘과 기대를 잔뜩 들고 왔지만, 졸업을 앞둔 내가 들고 있는 것은 불안과 걱정으로만 가득 차 있다. 일자리가 줄어드는 세상에서 내가 사회로 가져가야 할 역량은 쌓으면 쌓을수록 부족해 보이기만 한다. 내가 이 길로 가는 게 맞는 것일까? 졸업을 앞둔 채 이런 생각을 하고 있으니 눈앞이 깜깜하기 그지없다. 요즘 아무것도 없이 맨몸으로만 가서 재미있게 듣고 오는 강의가 있다. “미래는 미래에 대한 기대가 있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교수님의 말씀을 듣고 나서 머리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미래를 암울하게 생각하는 이유가 내가 미래의 나에 대해 기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지 않은가. 나는 내 미래를 생각할 수 없었다. 고등학교까지는 주변에서 길을 제시해 주었기 때문에 따라가면 됐었는데, 지금은 내 길이 옳은 것인지 알려줄 누구도 없다. 답답한 가슴에 충동적으로 수업이 끝나고 교수님께 찾아가 현재의 고민에 대해 토로했다. 그리고 물끄러미 나를 바라보며 교수님께서 하시는 말씀이 “너는 아직 젊잖아.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 망해도 봐야지. 인생은 원래 망하는 거야. 미래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 미래를 생각하지 말아라. 지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