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 1469~1527)는 그의 저서 <군주론>(Il Principe)에서 이렇게 말한다. “군주 된 자는, 특히 새롭게 군주의 자리에 오른 자는 나라를 지키는 일에 곧이곧대로 미덕을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나라를 지키려면 때로는 배신도 해야 하고, 때로는 잔인해져야 한다. 인간성을 포기해야 할 때도, 신앙심조차 잊어버려야 할 때도 있다. 그러므로 군주에게는 운명과 상황이 달라지면 그에 따른 임기응변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면 착해져라. 하지만 필요할 때는 주저 없이 사악해져라.” 이는 마키아벨리의 핵심 이념으로 평가되었고, 당시 교황청은 ‘군주론’을 악마의 소리라고 선언하면서 금서로 지정했다. 사람들은 그를 사악한 권모술수의 대가이며, 목적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수단도 정당화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지금도 혹자는 누군가를 칭찬하기 위함이 아니라 비난할 목적으로 ‘군주론’을 언급한다. 그러나 당시 이탈리아가 처했던 상황에서 살펴보면 이러한 판단은 성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탈리아 반도는 여러 나라로 분열된 채 늘 주변 강대국들의 침입에 시달려야 했다. 수십 년간 전쟁의 소용돌이
“여러분들은 국위선양이라는 말을 아시나요? 국위선양이란 나라의 위세를 널리 알린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위세를 널리 알린 스포츠 스타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스포츠 스타는 바로 축구스타 박지성입니다.(중략)” 이는 **대학 광고홍보학부 학생의 블로그에 올라있는 글 가운데 일부이다. 이 글을 쓴 대학생은 친절하게도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는 국위선양(國威宣揚) 풀이를 실어주고 있다. “국위선양: 나라의 권위나 위세를 널리 떨치게 함.” ‘표준국어대사전’은 국위선양이란 말이 일본의 명치정부를 뜻하고 있음에도 이의 속 깊은 내용을 밝혀놓고 있지 않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위선양이란 명치정부를 널리 알리자는 뜻으로, 그 어원은 1868년 4월 6일 발표한 명치 원년 5개조(明治元年 五箇條)가운데 제2조에서 유래한다. 해당조항을 보면 “기원제에서는 출정장병의 무사안녕과 싸움터에서 국위선양(명치정부)할 황군장병의 무운장구를 빌라.”고 되어 있다. 요즘 사람들은 이런 뜻도 모르고 ‘국위선양’이란 말을 쓰지만,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함께 동고동락한 여성독립운동가 정정화(1900-1991, 1990년 애족장) 지사는 그의 책 ‘장강일기’(학
조선시대의 정원은 성리학자들의 인생관이 서려 있다.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세연정과 더불어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전남 강진군 성전면의 ‘백운동별서정원’은 조선 중기 처사 이담로(李聃老, 1627-1701)와 후손들의 삶과 철학이 담겨 있다. 이담로는 월출산 옥판봉에서 흘러오는 물로 유상곡수와 정자를 만들어 즐겼다. 그가 즐긴 것은 도(道)였고, 그가 추구한 도는 하늘이 부여한 인간의 착한 본성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백운동별서정원을 만날 수 있는 것은 그의 후손인 이덕휘(李德輝, 1759-1828)와 이시헌(李時憲, 1803-1860)을 비롯한 많은 분들의 노력 덕분이다. 백운동별서정원을 더욱 빛나게 한 것은 다산 정약용과 차 때문이었다. 강진 유배시절 이곳에 들린 정약용은 별서의 아름다움에 마음을 완전히 빼앗겨 초의선사에게 《백운동도(白雲洞圖)》를 그리게 하고, 자신이 직접 8수, 초의선사 3수, 윤동 1수를 지어 백운첩(白雲帖)을 만들었다. 정약용이 지은 시 중 제1경인 옥판봉은 월출산 최고봉이자 현재 이곳에서 생산하는‘백운옥판차’의 이름이기도 하다. 특히 이곳에서 생산한 조선시대 떡차는 정약용의 건강을 지켜준 은인이었다. 정약용은 183
●연극 <달빛 크로키> 일시: 2019.09.20.~10.27./장소: 여우별아트홀/문의: 010-2875-1931 이 공연은 오늘날의 연인들이 느끼는 다양한 사랑들을 나레이션 방식을 사용하여 담담하게 풀어나간다. 또한 ‘옥상의 슈퍼맨’, ‘참깨라면’이라는 에피소드를 통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외로움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을 법한 사랑과 외로움의 감정들을 잘 보여주는 이 작품을 관람하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전시 <권정호; 1971-2019> 일시: 2019.08.16.~09.21./장소: 대구문화예술회관/문의: 053-606-6152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과 결합된 양식을 개척한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가, 권정호의 전시이다. 전시는 5개의 섹션으로 점 시리즈, 해골 시리즈, 하늘, 선 시리즈 등을 보여준다. 특히 작가를 대표하는 상징인 ‘해골’은 초기부터 지금까지 표현 방식과 매체를 달리해 가면서 다양한 변화를 보였고, 새로운 시각과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자아이의 성장은 남자아이가 자라는 방식과는 다를 것이다. 수많은 차이가 엄연히 있다. 그러나 분명한 건 남자아이보다 결코 ‘얌전’하거나 수월한 성장통일 리 없다는 점이다. 소녀들이 ‘무난히’ 클 거라는 편견 속에는 사실 사회적 강요가 배어있다. 어딘가에 스며들어 있다가 필요할 때만 나타날 것을 요구받기도 한다. 숱한 ‘평범한’ 여자아이들이 어떻게 자라는지 세상에 눈길 주는 이는 드물어도, 아이들은 한 시도 멈추지 않고 성장을 거듭한다. 평범하다는 뜻은, 공부를 잘 해 눈에 띄거나 장차 서울대생이 될 법한 기대주 몇몇을 뺀 대다수를 가리키는 동시에, 큰 사고나 이변 없이 무사한 우리들 일상에 대한 표현이기도 하다. 그 때 그 순간의 다리나 버스, 배를 비껴간 운 좋음 같은 안도 말이다. 김보라 감독의 “놀랍도록 성숙한 데뷔작” 영화 <벌새(House of Hummingbird)>는 1994년을 사는 중2 은희의 이야기다. 가장 보통의 중학생 같은 모습으로 등장한 은희의 요란하고 혼란스럽던 한 시절은 하필 그해 10월 21일을 지나며 마디를 남긴다. 성수대교 상판이 붕괴되는 사고로 17명이 다치고 32명이 사망했다. 불과 25년 전 어느 아침이었다.
기업은 재화나 서비스 등을 생산하고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기본적인 생리이다. 이러한 기업의 기본적인 성격을 고려하더라도 최근 보도된 YG사태를 비롯해 탈세, 불법 증여, 불법 양도, 노동법 위반, 기업 철학의 부재, 불법 상속 등은 배금주의로 물든 우리나라 기업의 비윤리적인 경영사례로만 보인다. YG엔터테인먼트의 경우 ‘버닝썬 게이트’를 계기로 소속 연예인들의 음주운전, 마약, 도박, 성관련 범죄 등 비윤리적 행위가 밝혀지며, 비윤리적 기업으로 낙인이 찍혔다. 주가가 계속해 하락세를 면치못하고 불매운동이 일어나기도 하며 소속 아티스트를 모델로 기용한 기업들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태다. 비윤리적 경영의 대가는 이 뿐만이 아니다. 미국의 에너지 회사 ‘엔론’은 직원들의 분식(粉飾)회계로 인해 끝내는 파산에 이르렀다. ‘엔론’에 투자한 많은 이들에게 큰 손실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일자리를 하루 아침에 앗아갔다. 기업은 개인의 사유물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011년에 소비자 3백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일 경우 가격이 비슷하거나 조금 비싸더라도 구매하겠
하늘에는 하늘의 문장, 천문이 있고 땅에는 땅의 문장, 지문이 있고 사람에는 사람의 문장, 인문이 있다. 인문 곧 사람의 글은 천지와 나란한 위치를 갖는 거룩한 존재다. 문 또는 문장이란 당초 ‘빛나다’는 말이다. 사람이 지닌 여러 재능 가운데 가장 빛나는 능력은 자기와 세계를 표현하는 문장력이다. 사람이 이룩한 온갖 일은 글로 표현될 때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빛나는 저술은 나라와 사회에 대한 위대한 공적이나 훌륭한 덕망과 함께 세 가지 영원히 남을 존재로 일컬어져 왔다. 근대적 글쓰기의 도구로서 한글 사용의 역사는 터무니없이 짧다. 이제 겨우 120여년이다. 한글 사용의 기점이 된 갑오경장은 계명대학교가 창립의 원년으로 삼고 있는 해에서 불과 5년이 더할 뿐이다. 이후 대략 한 세대 동안에 이룩한 신문학의 성과는 눈부시다. 하지만 글쓰기 도구로서 한글의 탁월함에 비해 그 도구로 이룩한 성과는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세계 최고의 표기수단이라고 하는 한글이라는 도구를 가진 터에 그 도구를 벼려서 빛나는 결과물을 빚어내기는 우리에게 언제나 중요한 과제이다. 그런 노력의 하나로서 문학상, 특히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학상은 필요하고 중요하다. 계명대신문사는
9월이 되니 아침저녁으로는 시원한 바람이 불어 가을이 조금씩 자리를 잡아 가는 것 같다. 이렇게 더위가 한풀 꺾이는 계절이 되면 다시 보고 싶은 영화가 한 편 있다. 1986년에 제작 상영된 ‘미션(The Mission)’이다. 30년도 훨씬 지난 영화이지만 2008년과 2017년에 2번이나 재개봉한 특이한 이력을 가진 영화로, 공간적 배경은 남미의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브라질이 만나는 접경지대이다. 미션은 첫 상영 당시 이과수 폭포를 스크린에 가득 채워 보여주는 웅장함만으로도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영화였다. 미션은 1750년에 실제 일어난 역사적 사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이러한 시대를 살았던 남미 원주민과 서구 열강의 노예상인, 복음을 전하고자 한 예수회 신부 등의 다양한 역사적 존재를 화면에 담아내고 있다. 영화는 1758년 남미 과라니족 사건을 마무리한 주교가 교황에게 편지를 쓰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역사에서 1750년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국경조약을 체결하고 이로 인해 스페인령의 보호지역에서 살던 과라니족 원주민들은 다시 노예제를 인정하는 포르투갈의 지배하에 들어간 시기이다. 이 시기 포르투갈의 지배에 저항하며 자신의 터전을 지키려던 과라니족 원
“지금부터 국민의례를 거행하겠습니다.” 이 말은 각종 행사 때 흔히 쓰는 말이다. 지난 8월 15일,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식에도 여지없이 이 말이 쓰였다. 뿐만 아니라 3.1만세운동 100주년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올해는 유달리 크고 작은 기념식이 많아 이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그러나 ‘국민의례(國民儀禮)’라는 말은 일제국주의 시대에 ‘궁성요배(천황이 있는 곳을 향해 경례), 신사참배, 기미가요(일본국가)의 제창 의식’을 가리키는 말이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하듯 ‘한국의 애국가 제창, 국기에 대한 경례,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으로부터 140년 전인 1879년, 교토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출신의 목사인 고자키 히로미치(小崎弘道)가 세운 영남판교회(靈南坂敎會)의 『영남판교회100년사』에 따르면 “국민의례란 일본기독교단이 정한 의례의식으로 구체적으로는 궁성요배, 기미가요제창, 신사참배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국민의례’의 구체적인 행동 강령을 보면, 1. 예배가 시작되기 전에 종이 울리면 회중들이 자리에서 일어나서 부동자세를 취한다. 2. 교직자가 입장한다. 3. 종이 멈추면 회중들은 오른
경북 안동시 풍산면에 위치한 병산서원은 우리나라 서원 중에서 배롱나무가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조영이 가장 아름다운 곳이다. 병산서원의 조영에서 가장 빛나는 것은 2.3km 정도의 비포장 길이다. 우리나라 9곳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서원 중에서 비포장 길은 병산서원이 유일하다. 병산서원으로 가는 길은 더디고 아주 불편하지만 땅의 기운을 마음껏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빛나는 것은 낙동강과 병산이다. 병산서원으로 가는 길 왼편은 상당히 깊은 낙동강이 굽이굽이 흐른다. 그래서 길도 물길처럼 굽이굽이 둥글둥글하다. 서원 앞 낙동강변의 모래밭은 대한민국 어느 서원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병산서원만의 가치다. 낙동강변의 병산은 병풍을 닮아서 붙인 이름이지만 중국 당나라 두보의 「백제성루(白帝城樓)」 중 ‘푸른 병풍 같은 산은 저물녘에 잘 어울린다(翠屛宜晩對)’에서 빌렸다. 병산서원을 한층 빛나게 하는 만대루도 두보의 시에서 차용했다. 병산서원은 복례문 입구부터 존덕사 앞, 그리고 서원 주변까지 온통 부처꽃과의 갈잎중간키나무 배롱나무가 살고 있다. 백일홍의 우리말인 배롱나무의 다른 이름 중 자미화(紫薇花)는 ‘북극’을 의미하는 ‘자미’ 덕분에 황제의 나무였다.
“세종 25년, 임금이 친히 언문(諺文) 28자를 지었는데...(중략) 이것을 훈민정음이라고 일렀다.” 이는 조선왕조실록 중 『세종실록 102권』에 수록된 문장으로, 세종대왕이 글을 모르는 백성들을 불쌍히 여겨 독자적으로 훈민정음을 반포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에 대한 업적을 높이 사며 후손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그를 역대 왕들 중에서도 특히 존경하여 아끼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정설을 벗어난 내용의 영화 <나랏말싸미>가 개봉하며 논란이 일었다. 다름 아닌 영화의 역사왜곡 문제에 대한 이야기다. 영화 <나랏말싸미>에서는 한글창제의 주역으로 세종대왕이 아닌 승려 ‘신미’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 캐릭터는 한글창제 과정이 사료에 나와 있지 않다는 점을 활용해서 영화적으로 재구성한 허구의 인물이다.사실상 다른 역사영화에서도 허구의 인물은 빈번하게 등장한다. 역사 자체가 바라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이고 한정된 사료와 기록으로 인해 어느 정도 상상의 영역에 맡겨지기 때문이다. 영화는 실제가 아닌 창작물이라고는 하나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하는 등으로 인해 관객들이 실제 역사를 인지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