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의 창립 125주년을 기념해 개최된 ‘대학생 에세이 대회’가 지난 11월 6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됐다. ‘AI 시대, 인간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는 총 5백90명의 재학생이 참여했으며, 6개로 분야를 나눠 운영됐다. 학부생은 인문, 사회, 자연공학, 예술, 종교 등 5개의 분야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종교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는 각 단과대학 소속 재학생만 작품을 접수할 수 있도록 제한됐다. 대학원생은 위 5개 분야와 ‘대학원생분야’까지 총 6개의 분야 중 희망하는 분야를 선택해 지원할 수 있었다. 이후 12월 6일 신바우어관 덕영실에서 열린 시상식에서는 각 분야별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을 수상한 52명의 학생들에게 상장과 3백만 원, 2백만 원, 1백만 원, 20만 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또 대상과 최우수상, 우수상을 수상한 학생에게는 각각 30점, 20점, 10점의 Co mpass K 점수가 지급될 예정이다. 대상은 인문분야 정윤정(러시아중앙아시아학·2) 씨, 사회분야 유지연(광고홍보학·4) 씨, 예술분야 이상혁(피아노·1) 씨, 대학원분야 김형진(일반대학원·컴퓨터공학·박사과정) 씨가 차지했다. 사회분야에서 대
지난 11월 12일, 우리학교 양궁부 류수정 감독과 장혜진 동문(체육학·06학번)이 문화체육관광부가 개최한 ‘2024년 체육발전유공 포상 및 제62회 대한민국체육상 전수식’에서 체육훈장 청룡장을 수상했다. 청룡장은 체육훈장 5개의 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체육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하고 국민 체육의 위상을 높인 사람에게 수여된다. 올해 청룡장을 받은 지도자 부문과 선수 부문 수훈자는 우리학교 양궁부 류수정 감독과 장혜진 동문을 포함해 총 6명이다. 류수정 감독은 1990년부터 우리학교 양궁부 감독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및 2020년 도쿄 올림픽 여자 양궁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는 등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류수정 감독의 제자인 장혜진 동문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여자 개인전 및 단체전,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 금메달을 수상하는 등 선수로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줬다. 이번 수훈에 대해 장혜진 동문은 “류수정 감독님과 청룡장이라는 영광스러운 훈장을 동시에 받을 수 있어 더욱 기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한편, 청룡장 수훈을 기념해 지난 11월 26일 체육관 101호에서 류
지난 11월 25일 동천관 국제세미나실에서 ‘2024 계명 실크로드 학술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계명 실크로드 학술상’은 실크로드학을 진흥시키기 위해 작년 우리학교 실크로드연구원이 제정한 상이다. 올해 수상작은 정재훈(경상국립대) 교수의 저서 ‘흉노유목제국사 기원전 209~216’과 Xin Wen(프린스턴대) 교수의 저서 ‘The King’s Road: Diplomacy and the Remaking of the Silk Road’다. ‘흉노유목제국사 기원전 209~216’은 ‘고대 유목제국사 3부작(흉노, 돌궐, 위구르)’의 하나로 기획되었으며, 몽골 초원 최초의 유목제국이자 이후 국가들의 기틀을 마련한 흉노의 역사를 정리한 저서이다. 또한, ‘The King’s Road: Dipl omacy and the Remaking of the Silk Road’는 실크로드 역사를 상업 경로가 아닌 외교적 경로의 관점으로 해석해 국가 간 네트워크의 작동 방식을 탐구했다. 신일희 총장은 “초기 상업적인 경로로만 여겨진 실크로드가 점차 기존의 학문적 경계를 뛰어넘는 학제 간 연구의 대상으로 진화했다. 두 분의 연구는 실크로드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고 보편적 가치
지난 11월 11일, 백은관 남쪽 주차장 공사가 마무리되며 기존 13면이었던 주차면이 44면으로 확대됐다. 또한, 해당 공사로 동산병원과 백은관 사이에 새로운 길이 열려 강창역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의 이동 시간이 단축됐다. 해당 길로 통학하는 김하은(유아교육·4) 씨는 “이번에 개방된 통로 덕분에 지하철 통학이 훨씬 편리해졌다.”고 말했다.
2025학년도 수시 원서 접수 결과, 우리학교가 비수도권 사립대 중 가장 높은 지원자 수를 기록했다. 총 4천98명 모집 정원에 2만6천7백69명이 지원해 6.53: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이는 지난해 5.66:1(2만2천7백35명)보다 대폭 상승한 수치다. ● 최고 경쟁률은 학생부교과 면접전형‘약학부’ 올해 신설된 학생부교과(면접전형)에서는 약학부가 39.5: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경찰행정학과 18.3:1, 간호학과 16.6:1로 집계됐다. 이어 학생부교과(일반전형)에서는 약학부 26.7:1, 자율전공부 18.8:1, 광고홍보학과 12.6:1의 경쟁률을보였다. 한편, 학생부종합(일반전형)에서의 경쟁률은 의예과 37:1, 유아교육과 21:1, 웹툰과 18.25:1로 각각 나타났다. ● 우리학교 수시모집 경쟁률 상승 요인은? 우리학교 수시모집 지원자가 증가한 이유로는 의예과와 자율전공부, 학생부교과(면접전형)의 모집요강 변경을 꼽을 수 있다. 의예과는 전년 대비 수시 모집 인원이 28명 증가한 총 80명을 선발하며, 1천6백34명이 지원해 평균 20.4: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로 나눠 모집하던 자율전공부를 통합한 것 도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성서캠퍼스에서 ‘창립125주년 기념 학생문화주간’ 행사가 열렸다. 이번 축제는 총학생회, 총동아리연합회, 각 단과대학 학생회가 연합하여 기획한 행사로, 공연과 캠페인, 취업 관련 부스 등이 운영되는 등 더욱 풍성한 축제의 장이 마련되었다. ● 5일간 단대별 축제 릴레이 첫날인 9월 23일에는 경영대학, 사범대학, 간호대학, TRC가 주관한 연합 축제가 ‘4U’라는 슬로건 아래 열렸다. 이어서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음악공연예술대학, 미술대학, 체육대학의 ‘M.A.P.L.E’, 사회과학대학과 공과대학의 ‘SYNC’, 인문국제학대학, 자연과학대학, KAC의 ‘INK’가 차례대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날인 9월 27일에는 제61대 총학생회 CODE와 제42대 총동아리연합회 POEM이 협력하여 준비한 ‘만산홍엽(滿山紅葉)’을 끝으로 축제가 막을 내렸다. ● 학생 주도 행사 축제의 공통 행사인 학생회 공연, 가요제 및 댄스제, 초청 가수의 공연 등이 5일간 진행됐다. 이외에 중앙동아리 공연, 체육대학의 태권도 시범단 공연, 음악공연예술대학 학생들의 장기자랑 등 각 단과대 학별 특성을 살린 행사도 함께 운영됐다. 또한, 푸드트럭과 플리마켓,
지난 9월부터 우리학교 곳곳에서 시설·환경개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먼저 백은관 남쪽 주차장에서는 주차공간 확대와 휴게공간 이설을 위한 토목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번 공사는 9월 23일부터 11월 1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전기차 수용률 개선을 목표로 한 정부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13면이었던 일반차량 전용 주차면은 3면이 추가된 16면으로 소폭 증가하고, 전기차 전용 주차장 28면을 신설해 총 44면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백은관과 동산병원을 잇는 새로운 출입구도 함께 신설된다. 이번 공사 전 공개된 평면도를 본 일부 학생들 사이에서 백은관 휴게공간이 전부 우측으로 이설되면 학생 휴게공간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우리학교 박진석 기획팀장은 “평면도로 볼 땐, 녹색 지역이 함께 표시되어 휴게공간이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공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이설할 계획이다.”라며 학생 휴게공간을 최대한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행소관에서는 주출입구 환경개선공사가 10월 1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됐다. 이번 공사에서는 노후화된 문틀을 교체하고, 미끄러웠던 바닥을 새로 시공하여 주출입구 이용의
지난 9월 19일, 타이완 국립지진센터에서 열린 국제내진대회(IDEERS 2024)에서 우리학교 토목공학과 복합구조연구실(CSL)팀이 종합 2위를 기록했다. 국립 타이완 대학, 타이완 지진센터, 영국문화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대회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국 등 8개국에서 48개의 대학이 참가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제한된 시간 안에 정해진 재료와 도구로 탑형 구조물을 설계하고 제작한 뒤, 인공 지진 실험을 통해 해당 모델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 과제로 주어졌다. 이에 우리학교 CSL팀은 목재 막대, 고무밴드, A4 용지를 활용해 브레이싱(bracing)과 댐퍼(damper)를 설계했다. 그 결과, 내진 성능 평가 항목 중 가장 높은 지진 강도인 800 gal의 중력가속도에도 붕괴되지 않는 구조물을 제작해 국립 타이완 대학교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CSL팀의 장준호(토목공학) 지도교수는 “학생들과 6개월간의 연구를 통해 준우승이라는 성과를 얻었다”며 “이번 경험을 발판 삼아 다음 대회에서 우승을 목표로 더욱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한편, 우리학교는 같은 대회에서 2년 연속 준우승을 달성했으며, 2004년부터 우승 1회,
우리학교 한국어교육학과와 폴란드 야기엘론스키대학교 한국학과가 국내 최초로 영어 전용 ‘1+1 한국학 석사과정 복수학위제’를 운영하고 있다. 영어전용 한국학 석사과정 복수학위제 프로그램은 야기엘론스키대학교 대학원에서 1년, 우리학교 대학원에서 1년을 수료한 후 양 대학의 석사학위를 취득하는 형식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야기엘론스키대학교 대학원에서 1년간의 과정을 마친 10명의 학생들이 올해 9월부터 우리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있다. 복수학위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막달레나 스므차크(일반대학원·한국어교육학·석사과정) 씨는 “한국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관심 가졌던 한류 문화를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선정(한국어교육학·교수) 국제부총장은 “폴란드의 명문대학과 복수학위제를 운영하는 것 자체가 우리학교 한국학의 위상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복수학위 제도가 해외 한국학자 양성의 자양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야기엘론스키대학교와 우리학교는 ‘2024-2026 KF 글로벌 e-스쿨 국내-해외 연계형(실시간형) 사업’으로도 협력 중이다. 해당 사업은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해외 대학에 한국 관련 강의를 늘
지난 6월 14일, 제중원 마당에서 ‘초기 제중원 원형 재현 봉헌식’이 이뤄졌다. 고통 받는 민중을 구제하고 치료하는 집을 의미하는 제중원은 영남지역 최초의 서양 근대식 병원이자 우리학교 동산의료원의 전신이다. 제중원은 조선 후기, 외과적 수술 및 감염병에 취약했던 시기에 개원해 이듬해 여름까지 1천7백여 명의 환자를 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천연두 예방접종, 제왕절개 수술 성공 등 지역 의료 발전에 기여해 왔다. 현재 청라언덕에 복원된 제중원은 새로운 지역 역사 문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제3회 코위크(CO-Week) 아카데미’가 지난 7월 1일부터 5일까지 성서캠퍼스에서 진행됐다. 코위크 아카데미는 맞춤형 교육 콘텐츠 학습을 위한 융합·개방형 캠퍼스를 뜻하며, 서울 코엑스, 건국대학교에 이어 올해 개최지로는 우리학교가 선정됐다. 이번 행사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66개 대학에서 2천5백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5일간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 반도체, 지능형 로봇 등 18개 첨단 분야에서 1백75개의 강좌가 운영됐다. 행사 첫날 계명아트센터에서는 코위크 입학식을 포함해 2024 신규 선정 5개 컨소시엄 출범식이 치러졌다. 학생들은 강의 수강과 동시에 명사 강연, 해커톤, 취업 토크 콘서트 등 다양한 부대 행사에도 참여했다. 특히 학생들의 안전한 활동을 위해 캠퍼스 곳곳에 음료대와 간식 부스, 그늘막 등의 편의 시설이 설치됐다. 코위크 입학식에서 신일희 총장은 “코위크 아카데미를 통해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첨단분야 인재 양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지역 학생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우수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대학과
지난 7월 5일, 우리학교 성서캠퍼스 체육관에서 20 24 세계대학태권도 페스티벌 개회식이 열렸다. 5일간 진행된 이번 페스티벌에는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브라질 등 약 56개국에서 1천여 명의 선수단 및 지도자들과 7백명 이상의 관계자들이 참가했다. 세계대학태권도 페스티벌은 2028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대회 출전권을 위한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는 대회다. 대회 종목은 겨루기, 품새 등이 있으며 경기 방식은 Division 1(G1, 겨루기 개인전, 품새), Divi sion 2(블랙벨트, 겨루기 개인전, 품새), Division 3(컬러벨트, 품새)로 진행됐다. 조직위원장을 맡은 신일희 총장은 개회사에서 “전 세계 태권도인들이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길 기대한다.”며 “자유와 스포츠정신이 깃든 이번 대회가 세계의 평화를 위한 발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세계태권도연맹(WT, World Taekwondo)과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Féd ération Internationale du Sport Universitaire)이 주최하고 대구 2024 세계대학태권도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