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활발한 작품 활동을 진행 중"지난해 한국무용협회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한 ‘2015 대한민국 무용대상’에서 장유경(무용학) 교수의 ‘푸너리 1.5’가 ‘군무 부문 베스트 7’에 선정됐고, 잇따라 한국춤평론가회의에서 ‘2015 춤평론가상 작품상’에 선정됐다. 또한…
"헌혈의 중요성과 긍정적인 면을 알리도록 노력했어요."지난 12월 19일 서울 파트너스하우스에서 제7기 헌혈 서포터즈 해단식과 함께 시상식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혈기왕성’팀-성낙근(경영학·2), 문민수(광고홍보학·2), 여수빈(경영학·3), 김민선(관광경영학·3), 이진규(동의대·화학공학·3)…
"흐린 건강 날씨,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맑아집니다."지난해 12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주최하는 ‘나트륨 줄이기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에서 우리학교 언론영상학전공 학생들이 UCC부문에서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나란히 수상했다. 백유경, 김한솔, 이택은(언론영상학·4) 씨는 일기예보를 패러…
"노인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해 생각한 지식 나눔 커뮤니티, 락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과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는 ‘제50회 대한민국 디자인전람회’에서 우리학교 손지영(시각디자인·4) 씨가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대한민국 디자인전람회…
"더욱 안전한 무인자동차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지난 11월 18일부터 이틀간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15년 자율주행자동차 콘테스트’가 열렸다. ‘자율주행자동차 콘테스트’는 빨리 달리는 것을 겨루는 경주 대회와는 달리 무인자동차가 주위환경을 얼마나 잘 인식하고 안전하게 주행하는지 평가…
"낯선 외국인 선생님에게서 진심을 통해 소통하는 법을 배웠어요."우리학교 교수학습처에서 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에세이 공모전’에서 박윤주(국어국문학·2) 씨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에세이 공모전’은 우리학교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증진 및 창의력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글쓰기 능력을…
"더 나은 식생활을 위해 실용적은 음식을 개발하고 있어요."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90%가량이 과도한 양의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다. 나트륨의 과도한 복용으로 인한 심장 관련 질환 사망자가 늘고 있어 저(低)나트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학교 정용진(식…
"누구나 갖고 싶어 하는 가방을 만들고 싶었어요."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주관하는 ‘2015 패션창업캠프사업’에서 우리학교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이 1등과 2등을 석권했다. ‘패션창업캠프’는 한국패션산업연구원에서 지역의 젊은 패션인들의 창의…
"학생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는 교양교육을 제공하고 싶었어요."우리학교는 지난 5월부터 학생들에게 부담이 가지 않는 교양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팟캐스트(Pod Cast)를 통한 교양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팟캐스트란 오디오나 비디오 파일로 다양한 콘텐츠를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커피도구들을 만들고 싶었어요."지난 23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계명아트센터 광장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제1회 야생커피사진전’이 열렸다. 사진전을 개최한 신상헌(국제통상학) 교수는 한국형커피드리퍼 ‘더 힐(The Hill)’을 개발해 론칭 행사도 함께 열었다. 우리나라 정…
"인물 간의 갈등과 그 갈등으로 인해 생기는 내면의 변화를 그려냈어요."지난 10월 28일 문예창작학과 제3회 문학제에서 ‘제9회 포에시스 문학상 시상식’이 열렸다. 이 날 시상식에서 재학생 6명, 졸업생 1명 등 총 7명의 수상자가 영예를 안았다. 포에시스 문학상은 우리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주최하는 문…
"힘든 사람에게 위로가 되는 음악을 연주하고 싶어요"지난 10월 17일 서울 삼익악기 복합문화공간 엠팟홀에서 (주)삼익악기가 주최한 ‘엠팟 대학생 슈퍼밴드’ 대회가 열렸다. 이번 대회에는 총 70여팀이 지원한 가운데 우리학교 채보훈(뮤직프로덕션·3), 황현모(뮤직프로덕션·3) 씨, 한희수(추계예술대…
최근 액션러닝이라는 분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액션러닝이란, 학습자가 팀을 이룬 뒤 동료와 교사 등의 도움을 받아 실제 업무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학습을 하는 훈련볍의 일종이다. 우리학교 최초로 액션러닝을 도입한 엄우용 교수는 교수, 교사, 외부 공무원들이 액션러닝을 통해 문제를 해…
"현실적인 대안으로 액션러닝만큼 효과적인 툴은 없다."많은 훈련법 가운데 ‘액션러닝’에 확신을 가지고 산학협력과 수업에 적극 적용하고 있는 인물이 우리학교에 있다. 바로 김창완(산학협력단)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액션러닝이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고 있는지 그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