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1162호 All about 표현력]

 

 

<자주 틀리는 우리 말>

 

‘한창’ vs‘한참’ 
A1. ‘한창’과 ‘한참’은 의미가 다르므로 구별해야 써야 합니다. 어떤 일이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을 나타내는 ‘한창’은 ‘축제가 한창이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반면,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이란 뜻의 명사로, ‘한참 동안 기다렸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웅큼’ vs ‘움큼’
A2. ‘웅큼’은 표준어가 아닌데도, 실생활에서 ‘움큼’만큼이나 자주 씁니다. 아마도 ‘웅큼’이 ‘움큼’보다는 발음하기가 다소 수월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손으로 한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는 ‘움큼’입니다. 또한 ‘움큼’은 단위성 의존 명사이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눈곱’ vs ‘눈꼽’
A3. 먼저, ‘눈곱’의 발음부터 살펴봅시다. ‘눈’과 ‘곱’이 결합된 합성어, ‘눈곱’에는 표기하진 않았으나 사이시옷이 있습니다. 따라서 ‘눈곱’은 사이시옷 현상에 의해 [눈꼽]이라고 발음하죠. 바로 이 발음 때문에 표기까지 ‘눈꼽’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한 표기는 ‘눈곱’입니다.

 

‘삐지다’ vs ‘삐치다’
A4. 성이 나서 마음이 토라진 경우엔 ‘삐치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삐치고’, ‘삐치지’, ‘삐쳐서’로 활용합니다. ‘삐지다’는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 내다’란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짓궂다’ vs ‘짖궂다’
A5. ‘짓궂다’란 말은 ‘짓’과 ‘궂다’가 합쳐진 말입니다. 여기에서 접두사 ‘짓’은 ‘마구’, ‘함부로’란 뜻을 나타내고, 형용사 ‘궂다’는 ‘언짢고 나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짓궂다’는 ‘장난스럽게 남을 귀찮게 해서 달갑지 않다’는 뜻을 갖습니다. ‘짖궂다’는 ‘짓궂다’를 잘못 표기한 꼴입니다.

 

‘짜투리’ vs ‘자투리’
A6.  ‘자투리’를 된소리로 표기한 ‘짜투리’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이렇게 불필요하게 된소리를 쓰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작거나 적은 조각, 또는 남은 천 등을 가리킬 때에는 ‘자투리’라고 해야 맞으며 발음 역시 [자투리]입니다.

 

‘안절부절하다’ vs ‘안절부절못하다’
A7.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해서 어찌할 바를 모를 때 쓰는 표준어는 ‘안절부절못하다’입니다.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더 널리 쓰이는 쪽을 표준어로 정하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 정답: X, O, X, O, O, O, O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