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3℃
  • 맑음강릉 17.4℃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8.2℃
  • 박무울산 14.8℃
  • 맑음광주 17.2℃
  • 박무부산 15.6℃
  • 맑음고창 12.7℃
  • 맑음제주 16.0℃
  • 구름많음강화 10.3℃
  • 맑음보은 12.5℃
  • 맑음금산 12.0℃
  • 맑음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15.4℃
  • 맑음거제 14.5℃
기상청 제공

[1163호 All about 표현력]

 

<자주 틀리는 우리 말>
괜시리 vs 괜스레 
A1. 아마 ‘괜시리’와 ‘괜스레’ 중 사용 빈도만 놓고 따지면 전자가 훨씬 우세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표현이 어디에서 왔는가를 살펴보면 표준어를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공연스럽다’란 뜻의 형용사 ‘괜스럽다’에서 온 부사가 바로 ‘괜스레’이므로, ‘괜시리’는 틀린 표현입니다.

 

경신과 갱신
A2. ‘경신’과 ‘갱신’은 한자가 ‘更新’으로 같습니다. ‘更’을 어떤 의미로 쓰느냐에 따라 읽는 방법이 달라지는데, ‘고치다’란 뜻으로 쓸 때에는 ‘경’으로 읽고, ‘다시’란 뜻으로 쓸 때에는 ‘갱’으로 읽습니다. 기록을 깨뜨려 새롭게 고치는 것을 의미한다면 ‘경신’이 맞습니다. ‘갱신’은 기간을 연장한다는 뜻으로, ‘면허 갱신’처럼 쓰입니다.
 
곤혹과 곤욕
A3. ‘곤란한 일로 인해 느끼는 감정’을 뜻하는 ‘곤혹’, 그리고 ‘심한 모욕’을 뜻하는 ‘곤욕’. 이 둘은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보면 구별하기 쉽습니다. ‘곤혹’은 주로 ‘곤혹스럽다’나 ‘곤혹을 느끼다’라고 쓰고, ‘곤욕’은 ‘곤욕을 당하다’, ‘곤욕을 치르다’, ‘곤욕을 겪다’라고 씁니다.

 

염두에 두다 vs 염두해 두다
A4. ‘염두(念頭)’는 ‘마음속’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그러므로 ‘~(을)를 염두에 두다’라고 하면, ‘마음속에 어떤 것을 담아 두다’란 뜻이 됩니다. 그런데 ‘염두’를 ‘염두하다’란 동사로 잘못 알고, ‘염두해 두다’라고 쓰는 경우가 많은데, ‘염두하다’는 우리말에 없습니다.

 

고난이도 vs 고난도
A5. ‘난이도(難易度)’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이고 ‘난도(難度)’는 어려움의 정도입니다. 이때 ‘난이도’에 ‘높을 고(高)’자를 붙이면,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가 모두 높다’는 비논리적인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매우 어렵다’는 뜻을 나타낼 때에는 ‘고난도’라고 해야 옳습니다.

 

주책없다 vs 주책이다
A6. ‘주책’은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책’이 없다고 해야, 줏대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는 사람을 가리키게 됩니다. 그런데 이를 ‘주책이다’라고 표현하면, 실없는 사람이란 뜻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주책없다’라고 해야 합니다.

 


[ 정답: X, O, O, X, O, O ]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