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9.7℃
  • 구름조금강릉 17.7℃
  • 맑음서울 13.5℃
  • 구름많음대전 14.0℃
  • 흐림대구 16.7℃
  • 울산 14.4℃
  • 구름많음광주 16.0℃
  • 부산 14.1℃
  • 구름많음고창 12.9℃
  • 제주 14.1℃
  • 구름많음강화 11.2℃
  • 구름많음보은 11.2℃
  • 구름많음금산 11.7℃
  • 흐림강진군 14.4℃
  • 흐림경주시 16.0℃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내 삶을 한탄함 - 이황

내사 마 안타깝네, 이미 다 지난 세월!
그대야 무슨 걱정, 지금 하면 되는 것을
쌓고 또 쌓아서 저 높은 산 될 때까지
어영부영하지 말게, 급하게도 굴지 말고
已去光陰吾所惜(이거광음오소석)
當前功力子何傷(당전공력자하상)
但從一簣爲山日(단종일궤위산일)
莫自因循莫太牤(막자인순막태망)

*원제: [자탄(自歎: 스스로 한탄함)]


1564년. 퇴계 이황(李滉:1501-1570)도 나이가 어언 예순 넷에 이르고 있었다. 그 무렵 퇴계는 벼슬에서 물러나와 낙동강 가에다 도산서당(陶山書堂)이란 아주 조그만 서당을 짓고, 우주와 교감을 나누고 있었다. 그때 제자 김취려(金就礪:1539-?)가 도산서당으로 찾아와서 하룻밤을 묵으면서 3수의 시를 지어 퇴계에게 바쳤다. 퇴계도 역시 그의 시에다 맞장구질 친 3수의 시를 지어 그에게 주었다. 위의 작품은 그 가운데 하나다.

예순 넷이면 그 당시로서는 꽤 많은 나이다. 저승사자가 대문 근처에서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이 얼핏얼핏 보이는 시점이다. 그러므로 퇴계로서도 지난 세월에 대한 회한이 없을 수가 없었을 터다. 그 무렵 그는 학자로서의 마지막 열정을 온통 공부에 쏟아 붓고 있었다. 하지만 나이가 이미 많은데다, 타고 난 몸이 쇠약했던 그에게는 남아 있는 시간이 별로 없었다. 당연히 퇴계는 마음에도 없는 벼슬살이 때문에 그 많은 시간들을 헛되이 보낸 데 대해 못내 아쉬워하고 있었다.

하지만 제자 김취려는 나이가 이제 겨우 스물여섯 살에 불과하였던 푸른 피가 펄펄 뛰는 젊은이였다. 그러므로 조금씩, 조금씩 쌓기만 하면 얼마든지 높고도 큰 산이 될 수 있을 터였다. 이 시는 바로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자신에게 쓰는 반성문이자 제자에게 보내는 격려 편지다. “제자야, 제자야. 내 나이 벌써 예순 넷이다. 금 쪽 보다도 훨씬 더 귀한 그 기나긴 시간들을 다 보내고, 지금 와서 이렇게 한탄하고 있단다. 제자야, 제자야. 너는 아직도 스물여섯의 꽃다운 나이. 쉬지 않고 꾸준히 가기만 하면 목표가 너에게로 다가온단다. 가기 싫다고 하여 어영부영 주저앉아 있지도 말고, 의욕만 앞서서 지나치게 성급하게 굴지도 말아라. 급하게 굴면, 사흘 갈 길을 하루 만에 후닥닥 내달려간 뒤에, 열흘 동안이나 드러누워 있게 된단다.”

그런데, 가만! 문득 생각하니 내 나이가 올해 예순둘이네. 퇴계보다 고작 두 살이 적네. 퇴계가 삶을 ‘한탄’했다면, 나는 이마로 아스팔트 도로를 쿵쿵 치면서 대성통곡을 해야 되겠네. 하지만 제자들아. 그대들은 아직도 꽃다운 스물, 푸른 피 펄펄 뛰는 나이가 아니냐.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