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하 AI) 기술을 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움직임이 커지는 가운데, 우리학교는 지난 6월 24일 KT· Microsoft(이하 MS)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K-MIND 센터’를 설립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10월 1일부터 전교생과 교직원은 무료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K-MIND 센터는 AI 클라우드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교육·연구 공간 등을 구축하고, AI 교육 인프라를 운영할 계획이다. ● K-MIND 센터 설립 배경 KT와 MS는 지난 6월, AI 및 클라우드 분야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지속적으로 협업을 이어오고 있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우리학교는 학생들의 AI 역량 강화를 위해 양사와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설립된 K-MIND 센터는 ‘K-Mobility & Intelligent Healthcare Nexus with Digital Cloud’의 약자로, 미래 디지털 기술을 직접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디지털 교육·연구 플랫폼을 말한다. K-MIND 센터 설립에는 AI 운영 경험이 큰 기반이 됐다. 우리학교는 KT가 AI 코스웨어 기업 ㈜타임리와 함께 개발한 멀티 AI 플랫폼 ‘타임리 G
우리학교와 대구 달서구가 ‘궁산 편백 누리숲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우리학교는 궁산 일대의 소유 부지를 제공하고, 달서구는 해당 부지에 편백 숲을 조성한다. 궁산 일대는 과거 소나무재선충병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이번 협약을 계기로 수종을 전환해 병해충에 강한 산림으로의 회복을 추진한다. 달서구는 올해 하반기 궁산 서편에 약 9천 그루의 편백나무를 식재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3천 그루를 추가로 심는다. 최종 1만2천 그루 규모의 편백 숲이 궁산 일대에 조성될 예정이다.
도서관에서 공부를 마치고 나오는 길, 눈앞에 펼쳐진 풍경이 눈길을 끌었다. 해가 서서히 기울며 하늘은 부드러운 분홍빛과 푸른빛이 섞여 있었다. 멀리 보이는 산은 고요했고, 그 아래로는 학과 부스 천막들이 자리해 있었다. 바람이 살짝 불어 나뭇잎이 흔들리고, 풍경을 보는 순간 하루의 피로가 사르르 녹았다. 공부로 가득했던 마음이 잠시나마 여유로워지고, 이 풍경이 수고한 나에게 보상을 주는 듯했다. 그래서 나는 이 장면을 사진으로 담아두었다.
우리학교의 시초는 1899년에 설립된 ‘제중원’에서 비롯된다. ‘제중원’은 대구의 근대 의료 서비스의 시작을 알린 대구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다. 이러한 제중원 설립에 기여했던 선교사는 안의와 선교사와 장인차 선교사였다. 안의와 선교사는 누나 안애리 선교사의 영향을 받아 한국 선교사를 꿈꿨고, 1897년 일본과 부산을 거쳐 대구에 자리를 잡은 뒤 선교 활동에 매진했다. 그러나 낙후된 의료시설로 죽어가던 환자를 보며 안타까움을 느낀 안의와 선교사는 미국에서부터 알고 지내던 장인차 의료선교사를 대구로 초청했다. 두 선교사는 처음에는 의약품을 제공하기 위한 미국약방을 설립했고, 이후 환자들에게 본격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제중원’을 개원해 환자들을 돌보았다. 장인차 선교사는 연간 5천여 명을 진료하면서도, 근대식 의료 강의를 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안의와 선교사는 제중원을 이전하고 확장하는 등 제중원을 관리하는 데 힘썼다. 이러한 두 선교사의 노력으로 오늘날 제중원은 동산의료원의 전신이자, 의과대학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안의와 선교사의 아들이었던 안두화 선교사는 대구 기독교 교육 학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54년 ‘계명기독학관’ 개관을 이끌었다.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