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7℃
  • 맑음강릉 6.0℃
  • 맑음서울 5.4℃
  • 맑음대전 4.0℃
  • 황사대구 8.3℃
  • 맑음울산 7.8℃
  • 맑음광주 4.9℃
  • 구름조금부산 9.0℃
  • 맑음고창 2.5℃
  • 황사제주 7.6℃
  • 맑음강화 4.9℃
  • 맑음보은 2.4℃
  • 맑음금산 2.6℃
  • 구름많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4.8℃
  • 맑음거제 10.7℃
기상청 제공

어제의 나는 오늘의 내가 아니다

“테시우스는 판자로 만들어진 배(T)를 갖고 있었다. 배가 낡아가자, 그는 건선거(배의 수리 또는 검사 장소) ㉮에서 T의 낡은 판자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한편, 낡은 판자를 모아 건선거 ㉯에서 새로운 배를 건조하기 시작했다. 오랜 세월이 흘러, 마침내 ㉮의 배는 모두 새로운 판자로 대체되었고, ㉯의 배는 모두 낡은 판자로 건조되었다. 최초의 배 T와 동일한 것은 ㉮의 배인가 또는 ㉯의 배인가?” ‘테시우스의 배’라는 이 역설은 “동일성의 기준이 무엇인가?”란 질문을 제기한다. 만약 T 전체가 단번에 새로운 배로 대체되었다면 더 이상 T는 없겠지만, 위의 사례는 T의 부품들이 서서히 대체되므로 이런 문제가 생긴다.

물질적 측면만이 고려되는 무생물과는 달리 인간의 경우는 좀 더 복잡하다. 인간은 정신(특히, 기억)과 신체의 특징을 가지므로,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동일시하는 기준’은 그것들 가운데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찾아야 한다. 세포들이 계속 생성소멸하고, 또한 새로운 공기와 음식물의 섭취/배출을 통해 신체의 구성요소는 변한다. 따라서 동일성의 본질적인 요소가 신체적 지속성은 아닌 것 같다. 한편, 영화 ‘여섯 번째 날’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그의 기억을 새롭게 만들어진 몸에 주입하며, 기억이 유지되는 한에 있어서 죽은 사람과 새롭게 생성된 사람이 동일한 사람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렇다면 기억상실증에 걸린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닌가? 나는 하루의 일에 대해서도 다수의 단편적인 기억들만을 갖는데, 동일성이 유지되려면 얼마나 많은 기억과 지속성이 필요한가?

만약 아무런 기준을 찾아낼 수 없다면, 어쩌면 ‘나는 나이다’라는 인격동일성에 대한 믿음은 편의를 위해 우리가 만들어낸 ‘허구’에 불과하고 내 삶이란 과거와 현재에 지속되는 ‘나’의 삶이 아니라 수없이 많은 ‘나들’의 삶은 아닐까?